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체온이 떨어지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마이클 거번(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타바버라캠퍼스 인류학과 교수) ★참고(Uwe Karstadt, 경원북스, 2017), (아보 토오루, 중앙생활사, 2011), (Humana press, 2020 ... ...
- [헥!헥!핵물리학자] 미래 과학자여, 뒤를 부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올 한해 소개한 핵물리학, 엄청난 연구들이 많았죠?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처럼 서울의 남북간 거리와 맞먹는 둘레의 실험실을 짓는가 하면, 이런 실험실에서 입자를 충돌시켜 매년 영화 10만 편에 달하는 양의 데이터를 만드니까 말이에요. 이번에는 수십 년 앞을 바라 ... ...
- [기획] 상온에서 된다고? 떳다!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한국원자력연구원 신소재융합기술연구부 책임연구원), 박두선(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양자물질초전도연구실 교수), 한승용(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초전도응용연구실 교수) ★참고 (김찬중, 하늬바람에영글다, 2015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얘기했어요. ▲ J. Adam Fenster / University of Rochester _인터뷰박두선(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양자물질초전도연구실 교수) “목표는 2035년! 한번 해 보는 거죠!” Q 이번 상온 초전도체 연구는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초전도체 현상이 처음 발견된 지 100년이 넘었지만, 영하의 온도에서만 초전도 ...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작은 3D 프린터 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레이든대학교 물리학과 다니엘라 크래프트 교수팀이 세계에서 가장 작은 보트를 3D프린터로 제작했어요. 머리카락 두께의 3분의 1 크기의 이 보트는 미생물의 움직임을 연구하던 과정에서 만들어졌어요. 지금까지 미생물의 움직임은 동그란 입자 형태로만 연구됐지만, 이번에는 3D 프린터로 원하는 ... ...
- [가상인터뷰] 밥을 먹은 개미가 배에 머리를 가져다 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수 있지. 너희가 밥을 먹을 때마다 하는 행동이 있다는데?최근 독일 마틴루터대학교 생물학과 지문 트라구스트 교수는 플로리다 목수 개미가 음식이나 물을 삼킨 뒤에 항상 고개를 숙여 자신의 배에 머리를 대는 걸 발견했어. 그 이유가 배에 있는 샘에서 분비되는 산성 물질인 ‘포름산(개미산)’을 ...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 길이 단위. 1μm는 1mm보다 1000배 짧다. ※필자소개임상훈(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고에너지 핵물리학을 연구한다. 미국의 상대론적 중이온 가속기(RHIC)와 유럽의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에서 각각 피닉스(PHENIX) 실험과 앨리스(ALICE) 실험에 참여한다 ... ...
- 놓치지 마! 2020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과학자가 되고 싶은 친구들, 주목! 지난 10월 5일부터 12일까지 2020년 노벨상 6개 부문의 수상자가 속속 발표됐어요. 이중 과학 분야인 노벨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을 살피면 미래 과학자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보이지요. 올해 수상한 연구 중에 맘에 드는 분야가 있다면 여러분도 ‘PICK’ 해 ... ...
- [과학뉴스] 악어가 헬륨 가스를 마시면? 엉뚱한 노벨상, 이그노벨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지렁이에 진동을 가하면 몸에 어떤 파형이 생기는지 연구한 호주 스윈번공과대학교 물리학과의 이반 막시모프와 안드레이 포토츠키 연구원이 수상했어요. 진동을 받은 지렁이는 마치 수면 위에 생기는 잔물결과 같은 파동이 몸에 나타났어요. 지렁이의 얇고 탄력 있는 원통형 몸체는 마치 혈관이나 ... ...
- [과학뉴스] 죽음의 백색 왜성을 돌고 있는 생존 행성 최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월 16일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학교 천문학과 앤드류 반덴버그 교수팀이 백색 왜성 근처에서 행성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증거를 최초로 발표했어요. 지금까지 백색 왜성 주위에는 행성이 살아남을 수 없다고 알려져 있었지요.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외계 행성 탐색 위성(TESS)과 적외선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