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스크를 쓰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실렸습니다. 나카야치 가즈야 일본 도시샤대학교 사회심리학과 교수팀이 마스크를 쓰는 이유와 빈도를 조사해 최고치가 1인 지수로 나타낸 결과, ‘다른 사람이 쓰고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0.44로 가장 높게 나타났어요. ‘자신의 감염 방지’라는 응답은 0.06이었죠. ... ...
- [과학뉴스] CERN의 앨리스 검출기 센서 국내 연구진이 양산 시험 성공과학동아 l2021년 01호
- ALICE·앨리스)’ 검출기 주요 부품 양산 시험에 성공했다. 권영일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국내 중소 기업과 공동으로 개발한 성능 테스트 시스템(COREA-YS-01)으로 첨단 이미지 센서 ‘알피드(ALPIDE)’의 양산 시험을 무사히 마쳤다고 지난해 12월 11일 밝혔다. 앨리스는 납 원자핵을 빛의 속도에 ... ...
- 작은 ‘탈 것’을 위한 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마이크로보트나 나노자동차에 비하면 크기가 거대하다. 박훈철 건국대 스마트운행체공학과 교수는 “공중을 비행하는 건 땅이나 물 위를 달리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초소형항공기의 경우 앞뒤로 움직이는 추력에 더해 중력을 이겨낼 수 있는 ... ...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밝혔다.스마트제조융합전공은 산업통산자원부와 경상남도, 창원시가 국가지정학과 형태로 지원하는 만큼 30명의 소수정예에게 주어지는 기회와 혜택이 남다르다. 우선 스마트공장 맞춤 전공답게 ‘연결’이 남다르다. 엎어지면 코 닿을 곳에 스마트산업단지 현장이 있는 덕분에 현장 실습과 취업 ... ...
- [특집] 특명! 최고의 수를 찾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안녕, 난 어린이수학동아 편집장이야! 아주 특별한 임무를 띠고 이곳에 왔지. 저 먼 고대에 분명히 있었으나 지금은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최고의 수’. 그걸 찾기 위해 결성된 ‘어수동 어벤저스 기자단’에게 특명을 내리러 왔어! 사라진 영웅, 최고의 수를 찾아 ... ...
- [특집] 각 분야 최고의 수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됐던 숫자입니다. 최고의 수는 세계 그 자체! 김민형 영국 워릭대학교 수학과 및 수학대중화 석좌교수세계 최고의 수는 ‘세계 그 자체’입니다. 무슨 뜻일까요? 이 말의 뜻을 파악하는 것을 긴 숙제로 남겨 놓겠습니다. 물론, 이 질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가 무엇인지, 또 ‘세계 ... ...
- [수학뉴스] 자연과학 분야 대통령상 수상한 수학자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함께 한국과학상을, 박부견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와 이영국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한국공학상을 받았습니다. 또 함유근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박정원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주영석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가 서인석 교수와 함께 젊은과학자상을 받았습니다. ... ...
- [이달의 수학자] 뇌는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아이작 뉴턴, 1828년에는 찰스 배비지가 맡았던 자리입니다. 호킹의 대표 업적은 수학과 관련이 깊습니다. 호킹은 202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수학자 로저 펜로즈와 함께 ‘호킹-펜로즈 특이점 정리’를 발표했습니다. 두 수학자는 우주에 특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했습니다. ... ...
- [만화뉴스] 지문 덕분에 손은 미끄럽지 않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11월 30일,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박건식 교수팀은 지문이 손가락의 마찰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유리판에 손가락을 댄 후, 시간에 따라 손가락과 유리 사이 마찰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했지요. 관찰 결과, 손끝이 건조하면 약간의 땀이 나며 지문이 유리 ... ...
- [헥!헥!핵물리학자] 미래 과학자여, 뒤를 부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올 한해 소개한 핵물리학, 엄청난 연구들이 많았죠?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처럼 서울의 남북간 거리와 맞먹는 둘레의 실험실을 짓는가 하면, 이런 실험실에서 입자를 충돌시켜 매년 영화 10만 편에 달하는 양의 데이터를 만드니까 말이에요. 이번에는 수십 년 앞을 바라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