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영겁
영원무궁
무궁
무량
무한량
무량무변
d라이브러리
"
무한
"(으)로 총 1,27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만사 둥글둥글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규칙 없이
무한
히 반복되는
무한
소수랍니다.사랑 : 그럼 수학자들은 어떤 방법으로
무한
히 반복되는 π값을 구했나요?선생님 : 좋은 질문이에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의 방법을 함께 살펴볼게요. 아래의 그림처럼 어떤 한 원에 내접하는 육각형과 외접하는 육각형이 있다고 해요. 원의 ... ...
인터월드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무한
대는 상상하기 힘든 개념이지만 재미있는 성질을 지니고 있습니다.
무한
대에 또 어떤 성질이 있을지 생각해 보세요.똑같냐, 다르냐, 그것이 문제조셉은 내가 온 지구보다 조밀한 지구에서 왔다. 조밀하다는 것은 중력이 더 강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셉의 모습은 다리 달린 탱크 ... ...
원 속에 파이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4로 사용합니다.하지만 중학교 과정에서는 근삿값으로 계산했던 원주율을 순환하지 않는
무한
소수로 배웁니다. 이처럼 기하에서 배운 원주율을 수와 연산 영역의 무리수로 개념을 확장하면서 사고력을 키우게 됩니다.교과서에 숨은 의미와 그림자 찾기!여러분은 수학 수업을 들을 때 옆에 있는 ... ...
태양만 있으면
무한
질주! 쏠라포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쏠라포스 ㅣ 제조사 사이언스 타임 ㅣ 가격 1만 원태양에너지는 가장 주목받고 있는 친환경에너지원이다. 태양전지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 태양빛의 광자가 금속 같은 물질과 부딪칠 때 물질의 표면에서 전자가 튀어 나오는 광전효과를 이용한다. 이 이론으로 아인슈타 ... ...
플랫랜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있습니다. 변의 개수를 늘리면 늘릴수록 넓이도 원과 비슷해지는 것이지요. 변의 개수가
무한
하다고 가정하면 다각형의 넓이로 원의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고등학교에서 배울 적분의 기초랍니다.또 다른 세상, 라인랜드왕 : 괜찮다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내게 보여 ... ...
효소라는 ‘핑킹가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에탄올 및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그리고 폐수 처리에 이르기까지 효소의 이용 가능성은
무한
하다. 특히 범지구적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친환경적 공정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공정이다.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2 수의 세계는 넓고 난제는 많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가로와 세로가 5칸이 넘는 마방진의 개수가 몇 개 있는지는 수수께끼다. 과연 마방진도
무한
히 만들 수 있을까?마방진을 만들어 보자! ★홀수차 마방진 만드는 규칙!1. 윗줄 가운데 칸에 1을 쓴다.2. 오른쪽 위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이며 차례로 숫자를 쓴다.3. 칸을 벗어났을 때는 반대쪽으로 이동해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소수라고 한다. 피보나치 수열은 끝없이 이어지는데, 그렇다면 피보나치 소수도
무한
히 많을까? 피보나치 소수는 수열의 뒤쪽으로 갈수록 희귀해진다. 지금까지는 발견된 가장 큰 피보나치 소수는 81839번째 있는 수로 17103자리의 수다.다함께 찾는 메르센 소수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깨달을 수 있다.반도체 비즈니스 제대로 이해하기강구창 지음 | 지성사 | 184쪽 | 1만 4800원
무한
경쟁 시대의 블루오션, 반도체 비즈니스를 두껍지 않은 한 권의 책으로 이해한다. 저자는 일반인이 반도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반도체 제대로 이해하기’라는 책을 냈다. 그는 반도체의 기술뿐 아니라 ... ...
무한
을 향한 도전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아주 오래 전 동물을 사냥하고 열매를 따서 배를 채우던 사람들은 깜깜한 하늘에 반짝이는 별을 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너무 오래 전이라 기록이 없어서 정확히 알 수 없 ... 1000을 나타낼 때 종종 사용했다. 그래서 매우 큰 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다가 점차
무한
대를 나타내게 됐다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