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영겁
영원무궁
무궁
무량
무한량
무량무변
d라이브러리
"
무한
"(으)로 총 1,275건 검색되었습니다.
다항함수의 다른 모습, 테일러급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테일러급수는 주어진 연속함수를
무한
차수 다항식으로 근사시키는 방법이다. 정확한 그래프의 식을 모르는 경우, 식을 알고 있는 비슷한 함수를 이용해 추측한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형태가 다양한 만큼 가장 많이 쓰이는 절대부등식이다. ...
1. 신기한 논리의 세계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이길거라는 상식에 맞춰 계산한 것인데도 뭔가 이상하다. 이것은
무한
반복이
무한
한 결과를 낳아 아킬레스가 거북을 결코 따라잡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데 문제가 있다. 제논의 역설기원전 5세기경 그리스의 수학자 제논은 “사물이 움직인다고 느끼는 것은 모두 환상”이라는 파르메니데스의 ...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선대칭 도형이면서 점대칭 도형이다. 이런 완벽한 도형을 사용해서 제품의 완전성이나
무한
성을 사용한 로고는 무수히 많다.심장은 규칙적으로 뛴다. 심장 박동수 그래프를 보면 일정하게 반복되는 모양이다. 이렇게 반복되는 부분이 있는 그래프는 평행 이동하면 서로 겹쳐진다. 음의 높낮이를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전송하는 광통신 기술처럼 빛을 이용한 IT는 지금도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지구상에
무한
하게 존재하면서도 오염이 없고 전송속도가 빠른 빛은 인류에게 주어진 최고의 자원이다. 빛을 전송하는 광통신 기술과, 빛을 감지하는 CCD 기술에 노벨상위원회가 주목한 이유이기도 하다.이세형 연구원은 ... ...
아름다운
무한
반복 프랙탈 아트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무조건 강요하기보다 관객이 작품을 보면서 자유롭게 떠오르는 이미지와 아이디어를
무한
하게 느끼라는 의도는 아닐까.그가 만든‘사이버 닭’을 보자. 단순한 곡선을 반복한 닭의 몸통 뒷부분과 꼬리, 다리는 프랙탈 이미지이지만 닭의 머리는 그가 실제로 그래픽으로 그려 넣었다. 만약 닭 머리가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지난 10월 8일 오전 10시. 진도 울돌목 시험조류발전소 사무실에 사람들이 하나둘씩 모이기 시작했다. 경기 안산에서 한국해양연구원 소속 연구원 4명이 도 ... 물살을 배경으로 힘차게 도는 대형 터빈이 눈앞에 그려졌다. 그곳에는 연구원들의 노력과
무한
한 가능성도 함께 꿈틀대고 있었다 ... ...
kipa. 창의인재 육성에 적극 나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상상력은 지식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SF영화에 등장하는 차세대 기술은
무한
한 상상의 장을 열어준다. 영화‘스타 트렉’에서는 공간을 이동하는 우주선이 등장하고, ‘프리퀀시’에는 과거의 아버지와 현재의 아들이 시간을 건너뛰어 무전을 주고받는다. 지금은 영화 속 상상력의 결과물일 ... ...
신비한 수 π의 발견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다각형을 이용한 아르키메데스의 방법으로 소수점 35자리까지 계산할 수 있었다면,
무한
히 더하는 방법으로는 500자리를 조금 넘는 정도가 한계라는 것이다. 사람을 대신해 컴퓨터가 계산에 활용되면서 π값은 놀랄만큼 정확해졌다. 1949년 미국 연구팀은 세계 최초의 전자식 계산기인 '에니악'을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1839년 프랑스의 발명가 루이 다게르는 인류 최초의 사진을 찍었다. 그 뒤 카메라는 대형 기계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로 발전하며 총천연색을 그대로 담는 수준까지 진화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선 카메라가 아예 풍경과 인물 촬영이라는 오랜 기능에서 벗어나 새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뱃속을 돌아다 ... ...
무한
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1990년 UN국제행동연구소는 대한민국을 물 부족 국가로 지정했다. 하지만 당시 국민들에겐 대수롭지 않은 일이었다. 월별 강수량의 차이가 커서 생긴 결과일 뿐, 댐이나 저수지에 물을 모아두고 사용하면 생활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그러는 동안 한반도는 점점 가물었다. 봄 가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