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영겁
영원무궁
무궁
무량
무한량
무량무변
d라이브러리
"
무한
"(으)로 총 1,27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똑똑해서 슬픈 베르테르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카이스트 학부 총학생회는 지난 4월 11일, 학생들의 잇단 자살에 대한 총장의 사과와
무한
경쟁 교육 철회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했다.]다른 사람 죽음에 감정 이입해 ‘나도 자살’민성길 원장은 “일정 기간 동안 한 집단에서 자살하는 사람이 연달아 나왔기 때문에 베르테르 효과로 볼 수 ... ...
방정식 다시 보기!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수학적 사고를 하고 있지?’‘학생들에게 수학을 좀 더쉽게 잘 가르치려면?’ 등과 같은
무한
한 질문을 쏟아내고 있어요. 여러분에게도 수학이 끊임없이 호기심과 궁금증을 일으키는 과목이 됐으면 해요.도전! 나만의 수학문제 만들기박광순 선생님은 수학 공부의 완성은 스스로 문제를 만들어 보는 ... ...
과학기자, PD는 어떤 사람이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자질을 갖고 있는 아이니까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꿈을 키워가길 바란다.” 사례 2 “‘
무한
도전’ 같은 예능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어요” C중학교 3학년 L학생 “너는 특기가 뭐니?” “영어 말하기를 잘하고요. 끈기가 있어요. 뭐 든 한 가지에 꽂히면 될 때까지 해요.” “장래희망이 있니?” ... ...
교과서에 딱 맞는 3D 전자키트 - 딱킷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전기회로는 쉽게 이해하기 힘들다. 눈에 보이지 않는 전자의 흐름을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전기회로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종종 물에 비유한다. ... 부품을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다. 부품만 넉넉하다면 만들 수 있는 전기회로의 수는
무한
대다. 창의력을 발휘해 새로운 전기회로를 만들자 ... ...
Part 3. 수학과 과학은 서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할 몫으로 남죠. 그런데 과학에선
무한
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렵습니다.
무한
을 대상으로 실험할 수 없으니까요. 즉 수학과 과학은 관심분야도 다르죠.조금 쉬운 예를 들어볼까요. 점과 선으로 수학과 과학의 차이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점은 무엇이죠? 크기가 없고 공간을 차지하지 않지만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한번 생산한 전기를 아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오네스는 언젠가 초전도 전선이 거의
무한
한 양에 가까운 전기를 저렴한 값에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여기에 초전도 현상이라는 이름도 붙였다. 1913년 노벨물리학상은 오네스에게 돌아갔다.그러나 초전도 현상은 만만하지 않았다 ... ...
[수학클리닉] 수 체계 정확하게 이해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유리수와 순환소수’ 단원에서 다시 주춤하죠. 분수를 소수로 고쳐 유한소수인가
무한
소수인가를 구분하는 문제는,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지 않아도 분자를 분모로 나눴을 때 ‘나눠떨어지느냐 아니냐’ 로 직관적인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로 헷갈려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유리수 범위에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세계에서 처음으로 핵융합 발전소를 짓는 것이 꿈만은 아니다.그런 의미에서 미래의
무한
핵융합 경쟁을 대비하려면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권 단장은 “핵융합은 바로 청소년을 위한 과학”이라고 말한다. 그는 “핵융합발전소가 본격적으로 건설되고 상용화되는 시기는 21세기 중반이므로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증가하므로 이 급수는 매우 빠르게 e에 수렴한다. 1737년에 오일러는 이 수를 다음과 같이
무한
번분수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무리수를 소수로 나타내면 겉보기에 숫자들이 제멋대로 나열되지만 아래와 같이 번분수로 표현하면 숫자들이 일정한 규칙으로 나열된다. 성장하는 나무와 ... ...
[훈데르트바서展] 곡선과 나선으로 건축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예술이다. 이런 예술을 가능하게 만든 것은 벤야민의 말처럼 기술이다. 기술은 예술을
무한
히 복제해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예술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런 점에서 훈데르트바서의 건축과 우표는 예술이자 기술이다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