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소재혁명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장기(臟器)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대체시키는데까지 진전되고 있다.인공장기시대가 활짝 열리고 있다. 인공심장 인공폐 인공관절 인공신장에서 인공피부에 이르기까지, 손상된 생체조직을 복원하려는 인간의 노력은 이제 결실을 맺어가고 있다. 아 ... ...
오늘의 뇌정위술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스캐너와 핵자기공명 덕분에 완벽한 공간좌표가 도출된다.레이저 빔을 유도할 수도뇌속의 특정 부위를 1mm의 오차도 없이 쪽집게처럼 지적하는 뇌정위술(stereotaxy)이 신경외과 의사들을 들뜨게 하고 있다. 이같은 정확성은 80년대에 이후에 등장한 스캐너(scanner)와 핵자기공명(NMR)이 제공하는 선명한 ... ...
수퍼컴 개발 「해프닝」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지난달 초 과학기술원이 현재 미국과 일본만이 상품화한 슈퍼컴퓨터를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고 발표해 과학기술계를 한차례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었으나 확인결과 과장발표와 이를 부추긴 언론의 합작품인 것으로 밝혀졌다.과학기술원김명환교수(전기전자과)는 지난달 7일 "최첨단 슈퍼 컴퓨터 ... ...
리드프레임 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일반적으로 강도가 커지면 전기전도도는 작아진다. 또 강도가 커지면 연신율은 떨어진다. 그러나 강도도 커지고 전기전도도와 연신율도 함께 올라가는 합금이 있다.필자는 미국에서 11년간의 유학 및 연구생활을 하다가 1979년부터 과학기술원 교수로 부임하게 되었다. 원래 나사(NASA) 등지에서 합금 ... ...
물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만원짜리 지폐를 보라. 거기에 그려진 물시계가 16세기의 자격루 유물이다. 관노에서 종6품이 된 세종시절 과학자인 장영실의 자격루를 개량한 것이다. 1434년(세종16년) 7월1일(음력). 조선왕조는 새로운 국가 표준시계를 공식으로 쓰기 시작했다. 보루각(報漏閣)의 자격루(自擊漏)라 불리운 자동물 ... ...
변리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변리사는 발명가의 창조적 작업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대리인의 역할을 한다.서른다섯이 넘은 나이에 여지껏의 경력은 깡그리 백지로 돌리고 새로운 직업을 선택한다.어느날 갑자기 그 분야가 매스컴에 자주 오르내리게 되었고, 어떤 사람들은 아주 유망한 직업을 택했다고 부추켜 주지만 일반 ... ...
국내에 암약하는 바이러스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최근들어 일반 PC유저들도 컴퓨터 바이러스에 의한 피해사례를 경험하고 있는데…최근들어 신문 지상을 통하여 컴퓨터 바이러스(computer virus)라는 말이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해서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 것 같다.필자가 생각 ... ...
「나이모디핀」 기억력 재생에 뚜렷한 효과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사람이나 개 등 동물은 나이가 먹을수록 기억력이 쇠퇴한다. 3살된 토끼는 그들의 나이로 이미 중년에 속하는데 새로운 무엇을 가르치기가 어린 토끼에 비해 매우 어렵다. 그러나 미국 ‘노즈웨스턴’대학의 신경학자들은 나이든 토끼에 ‘나이모디핀’(Nimodipine)이라는 약물을 투여해 기억력이나 ... ...
아메리카 들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아메리카의 개척시대를 배경으로 한 서부영화는 언제 보아도 재미있다.넓은 들판을 꽉 메우고 돌진하는 검은 들소떼들, 그 사이를 텁석부리 카우보이들이 말을 타고 달리며 쏘아대는 총탄 세례가 한바탕 소란을 피우는 장면은 통쾌하고 박진감을 준다.인디언과 백인의 혈투, 서부개척사에서 끊임 ... ...
걸어다니는 로봇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메카트로닉스기술은 '인간에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몸무게 74kg, 키 1m, 다리 넷 달린 로봇이 ‘기우뚱 기우뚱’어설픈 걸음마를 시작한다. 머리부분에 장치된 시각감지기(카메라)가 눈앞의 물체를 자동으로 식별함으로써 목표 점을 향해 움직여 갈 수 있다. 덩치는 감당하기가 힘든 듯 ... ...
이전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