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흑점 코로나 플레어 루프 태양상수 태양풍 뉴트리노 등 태양과 관련된 여러 현상들의 실체는 무엇일까?흑점의 11년 주기란?태양표면에 나타나는 흑점의 개수가 주기적으로 증감한다는 사실은 12년간의 대 관측결과를 정리한 '슈바베'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발견은 당시의 사람들에게 ... ...
체질에 맞는 음식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사상의학의 창시자 이제마는 인간의 체질을 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으로 나누고 있다. 당신은 어디에 속할까?예로부터 인간은 의술을 통해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편안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서양에서는 주로 해부학 조직학 세균학 등을 바탕으로 하여 국소적인 원 ... ...
원전11·12호기 안전성을 둘러싼 공방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전라남도 영광에 곧 착공될 원전11·12호기에 대해 '기술자립도 80% ''안전설계 ''짜깁기 원자로 ''상업운전 경험이 없는 축소형 모델'등 찬반양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반핵운동가들로부터 '짜깁기 원자로'라는 별명을 얻는가 하면 전씨관련 5공비리의 하나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던 원자력발전소 11·1 ... ...
천문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이민철과 송이영. 이 두 17세기 천문학자는 지구회전의 원리를 어떻게 확신하고 정립했을까?●―예일대학에서 온 편지1960년 봄이었다. 예일대학 과학사학과에서 한통의 편지가 왔다. 그 학과 프라이스(D.J.Price)교수의 부탁으로 그의 지도로 박사과정을 하고 있던 야기(八木)씨가 쓴 사연이었다.1936년 ... ...
공업디자인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원대한 포부를 안고 출발한 디자이너인생. 좌절과 깨달음을 거듭하면서 인간을 위한 디자이너로 바로 선다.디자이너. 흔히 디자이너라고 하면 보통 사람들은 패션에 관계된 전문인으로 생각하면서 굉장히 자유분방하고 돈도 많이 버는 것으로 인식하는 듯하다. 모든 분야가 마찬가지이겠지만 성공 ... ...
레이저픽업 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삼성종합기술원은 최근 컴팩트 디스크플레이어(CDP)용 레이저픽업(pick-up)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이 연구소의 전자기기분야 이철우박사 팀이 개발해 낸 이 제품은 기존 렌즈방식을 탈피해 홀로 그램소자를 이용한 새로운 방식이다. 이에 따라 기존CDP의 부품숫자를 줄일 수 있게 됐으며 조립비용도 ... ...
찾아낸다면 엄청남 기술적·경제적 이익 얻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문리버(moon river)라는 달콤하고 센치멘탈한 노래는 달에 물이 없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더 가슴에 파고드는지 모른다. 과연 달에 물이 없을까? 만약 물이 있다면 그 것은 인류의 우주진출에 있어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엄청난 도움을 주게 된다.달의 물은 착륙한 우주인들의 식용으로 즉각 ... ...
리드프레임 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일반적으로 강도가 커지면 전기전도도는 작아진다. 또 강도가 커지면 연신율은 떨어진다. 그러나 강도도 커지고 전기전도도와 연신율도 함께 올라가는 합금이 있다.필자는 미국에서 11년간의 유학 및 연구생활을 하다가 1979년부터 과학기술원 교수로 부임하게 되었다. 원래 나사(NASA) 등지에서 합금 ... ...
물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만원짜리 지폐를 보라. 거기에 그려진 물시계가 16세기의 자격루 유물이다. 관노에서 종6품이 된 세종시절 과학자인 장영실의 자격루를 개량한 것이다. 1434년(세종16년) 7월1일(음력). 조선왕조는 새로운 국가 표준시계를 공식으로 쓰기 시작했다. 보루각(報漏閣)의 자격루(自擊漏)라 불리운 자동물 ... ...
오늘의 뇌정위술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스캐너와 핵자기공명 덕분에 완벽한 공간좌표가 도출된다.레이저 빔을 유도할 수도뇌속의 특정 부위를 1mm의 오차도 없이 쪽집게처럼 지적하는 뇌정위술(stereotaxy)이 신경외과 의사들을 들뜨게 하고 있다. 이같은 정확성은 80년대에 이후에 등장한 스캐너(scanner)와 핵자기공명(NMR)이 제공하는 선명한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