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논란도 있었지만, 세계보건기구(WHO)는 2016년 2월 1일 브라질 등에서 보고된 소두증과 그 밖의 신경장애 사례가 이례적인 일로 다른 지역의 공중보건에 위협이 된다며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이는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2014년 소아마비, 2014년 서아프리카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채취한 뒤, 같은 혈통을 가진 다른 감염된 쥐의 세포와 섞어 관찰했다. 그 결과 몸밖에서도 체내에서와 마찬가지로 감염된 세포를 찾아 파괴하던 T림프구가 다른 혈통의 쥐에게 주입했을 때는 감염된 세포를 인식하지 못했다. 이는 T림프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인식하고 파괴하려면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백신도 지금은 펩타이드 백신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B형 간염 백신이 대표적이다. 그밖에도 단백질 백신의 종류는 다양하다.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없이 바이러스의 외피를 접종하는 바이러스유사입자(VLP·virus like particle) 백신도 큰 틀에서는 단백질 백신에 속한다. VLP 백신은 면역반응 유도율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슬럼프에 빠진 명사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저기압인 병실 안쪽으로 흐르도록 설계하는 것이지요. 대신 음압병실엔 오염된 공기를 밖으로 내보낼 수 있는 배기시설을 따로 설치합니다. 이 배기시설엔 공기 중에 퍼져있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걸러내는 헤파(HEPA)필터가 설치돼 있어요. 병실 안 공기는 필터를 통과한 뒤 안전하게 외부로 ... ...
- [한페이지 뉴스] 우주선(cosmic ray), 지구에서도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 중 태양에서 방출된 우주선(SPE)에 대해서는 대비책이 일부 마련돼 있지만, 태양계 밖에서 들어온 우주선(GCR)에 대해서는 모르는 부분이 더 많다. GCR은 대부분 초신성 폭발로 방출되기 때문에 연구가 어렵고, 정확한 연구를 위해선 직접 우주로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항공우주국 ... ...
- 美 9년 만에 유인 탐사 재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팰컨 헤비(Falcon Heavy)에 루나 게이트웨이의 2개 모듈을 실어 발사할 가능성을 비쳤다.그밖에 ISS와 허블우주망원경 등 1세대 우주 탐사를 이끌었던 장비들이 퇴역을 앞두고 있고, 화성 이주 계획, 달 전파망원경 설치 등 다양한 계획도 나와 있다. 짐 브라이든스타인 NASA 국장은 “우리는 아르테미스를 ... ...
- [일본유학일기] ‘고등학교 4학년’ 거쳐야 비로소 시작되는 전공생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디바이스’를 만들었다. 이것으로 1년 내내 친구와 둘이서 학내는 물론이고 학교 밖 경진대회까지 휩쓸고 다녔다. 지금은 코로나19로 학교 공작실이 폐쇄돼 작업을 거의 못 하고 있지만, 학교가 문을 열면 다시 바빠질 예정이다 ... ...
- [이달의 책] 나는 무엇으로 이뤄져 있을까...더 위험한 과학책 외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퍼져나갔다. 시베리아나 대서양을 횡단하기도 했다. 이제는 지구를 넘어 대기권 밖으로 우주선을 쏘아올린다. 저자는 인류의 유전자 속에 탐험하고자 하는 욕구가 내재돼 있다고 말하며, 1957년 옛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을 발사하면서 시작된 우주 탐사의 역사를 들여다본다. 인류의 모험담은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적외선, 상피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보고,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다른 빛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답니다. 적외선은 붉은색 밖에 있는 선이라는 의미로, 한자 ‘붉을 적(赤)’에 ‘바깥 외(外)’를 붙여 만든 이름입니다. 영어로도 적색을 의미하는 ‘red’에 뒤쪽을 의미하는 접두사 ‘infra-’를 붙여 ‘infrared’라고 불리게 됐지요. 흔히 ... ...
- [이달의 과학사] 생명을 구하는 수혈법의 발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사용해 최초로 몸 밖으로 꺼낸 피를 환자에게 수혈하는 데 성공했지요. 몸 밖으로 꺼낸 피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혈액형의 피를 보관했다 필요할 때 공급하는 ‘혈액은행’도 처음 만들어졌지요.그런데 20세기 초에는 혈액을 유리병에 담아 보관했어요. 유리병에는 공기가 들어가 세균이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