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험실 안에 성층권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조 성층권이죠. 이는 폭과 깊이가 1.5m, 높이가 2m인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챔버로, 밖에 연결된 다양한 장치들로 고층 대기 환경을 만들어요. 우선, 제논(Xe) 램프로 자연 빛에 가장 가까운 빛을 쏴 챔버 안에 태양빛을 만들어요. 그리고 습도 발생 장치와 일정한 속도로 공기를 흘려보내는 ...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먹이를 한참 못 먹어 굶주린 데다 부상을 입은 상태였다. 발견 당시 몸무게가 6kg밖에 되지 않았는데, 보통 독수리의 몸무게가 8kg 이상인 것에 비하면 깡마른 상태였다.그때부터 한 달 동안 충북야생동물구조센터와 청주동물원의 수의사들이 협력하여 정성스럽게 돌봤다. 결국 독수리는 정상 ... ...
- [수동TV] 수학으로 따지다! 미스터리 외계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침묵하는 우주’, 이언 스튜어트 ‘우주를 계산하다’, 닉 레인 외 19명 ‘지구 밖 생명을 묻는다’, Tom Westby, Christopher J. Conselice ‘The Astrobiological Copernican Weak and Strong Limits for Intelligent Life’, A. Frank, Jonathan C ...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영화 ‘인터스텔라’를 아시나요? 사람이 살기 어려운 환경이 돼 버린 지구를 떠나 인류가 이주할 외계행성을 찾기 위한 모험을 그린 영화입니다. 실제로 천문학자들은 마치 영화 속 이야기처럼 생명체가 살 만한 행성을 찾고 있습니다. 시민천문학자와 함께 말이죠. ‘인터스텔라’는 환경 ... ...
- [수학체험실] 추상화의 선구자, 피터르 몬드리안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몬드리안에게 권했습니다. 하지만 몬드리안은 그 제안을 거부합니다. 이유인 즉슨, 창문 밖으로 보이는 풍경 때문이었습니다. 칸딘스키에게 아름다운 자연이 몬드리안에게는 형형색색 어지럽게 느껴졌던 겁니다.이런 일화가 지금까지 전해질 정도로 몬드리안은 간결하고 정돈된 형태를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어떻게 형성될 수 있을까. 현재는 코로나19에 걸렸다가 회복된 사람의 비율로 따질 수밖에 없다. 병증을 이겨낸 것을 코로나19의 항체를 획득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이 이를 경험할수록 집단면역률도 상승한다.각국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6월 중순 기준 초기 코로나19의 전파가 ...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플루젠 등 다수의 연구팀이 M2 단백질을 이용해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발 중이다. 그밖에 HA의 말단에 비해 줄기 부분에서는 돌연변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해 HA 줄기에 결합하는 항체로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을 만들려는 시도도 있다. 하지만 HA 줄기는 항체가 결합하기에 ...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중 소리를 녹음하고, 수온도 측정하는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Q 물 밖으로 나오지 않아도 위치를 알릴 수 있다고? A 응! 기존 자율수중로봇들은 GPS 센서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수면으로 올라와 GPS 신호를 받아야 했어. 만일 바다 표면이 얼면 바다 위로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생물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일례로, 1990년대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구 밖 외계 생명체를 찾기에 앞서 ‘생물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논의 끝에 결론 내린 생물의 정의는 ‘다윈의 진화론을 따르는 자립형 화학 시스템(A self-sustaining chemical system capable of Darwinian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HIV)에 감염된 백혈구는 테더린(tetherin) 단백질을 분비하는데, 이 단백질은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려는 바이러스를 붙잡는다. 면역세포가 도착할 때까지 잡아두는 것이다. 일단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탈출에서 성공하면 다음 목표는 무사히 체외로 빠져나오는 것이다. 그래야 다른 개체의 숙주세포를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