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과학마녀 일리! 이번엔 우주를 다녀왔어~. 우리가 사는 태양계 밖에도 행성이 존재한다는 사실, 알고 있니? 이를 외계행성이라고 하는데, 외계행성의 비밀을 밝혀줄 내 친구가 얼마 전 우주로 떠났거든. 근데 그 친구가 이제 본격 탐사에 들어갈 거란 소식을 전해와서 직접 만나고 왔단다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한 점으로 모을 수 있다. 광역학 치료에 시간 역행 거울을 활용한다면 절제 수술 없이 몸 밖에서 원하는 질병 부위를 선택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테넷은 시간 역행이라는 개념 하나만으로 놀라운 볼거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과학을 사랑하는 관객들에게 시간에 대한 퍼즐을 숙제로 ... ...
- 기발한 연료 3총사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메탄올은 1kg당 20MJ의 에너지를 낸다. 반면 리튬이온전지는 같은 무게로 1.8MJ의 에너지밖에 내지 못한다. 연구팀은 로비틀의 다리를 니켈과 타이타늄 합금 전극으로 설계하면서 표면에 메탄올의 연소를 촉진하는 촉매인 백금 가루를 덮었다. 메탄올이 산화되며 발생하는 에너지로 다리의 전극이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원했고, 조사위원회는 공간적 제약이 조사활동을 방해한다는 이유로 기술 자료를 연구소 밖으로 가져나가겠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양측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한 가운데 울며 겨자먹기로 내어준 기술 자료가 결국 외부로 유출된 것이다. 이 모든 갈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방법은 3차 발사에 ...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DNA를 풀어 mRNA를 합성하는 전사복합체의 작용이 방해를 받아 mRNA가 적게 만들어진다. 그밖에 번역 등 다른 세포 활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가령 mRNA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번역 과정이 일어날 때 4중나선 구조가 많으면 이것이 장애물처럼 작용해 단백질 합성이 중단될 수 있다. 반대로 유전자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너무 많았다. 스트리밍 게임은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즐기는 게임에 밀려 한동안 관심 밖에 있었다.그런데 2010년대 중반부터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소니와 MS, 구글이 각각 ‘플레이스테이션 나우(Playstation Now)’ ‘프로젝트 엑스클라우드’ ‘스태디아’라는 클라우드 게임을 연이어 출시한 ... ...
- [과동키즈] 치료에서 변호로 꿈은 변하는 것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디지털 테라퓨틱스, 정밀의료 등을 도입하기 위한 법률자문을 수행하고, 그밖에 국내 바이오 벤처 회사와 제약사가 가진 바이오‧의약 기술을 특허화하거나 외국 기업에 기술 이전하는 계약을 자문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미궁에 빠진 사건을 푸는 융합적 사고의 힘나는 치과의사 출신 변호사로 ...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직접 먹었어요. 평균 36.2살(27~45살)인 그들은 자기 똥을 관찰해 레고 머리가 언제 몸 밖으로 나오는지 살펴봤지요. 연구팀은 배변의 밀도와 횟수를 분석하며 레고를 삼켰을 때의 위험성을 조사했습니다.연구 결과, 6명 중 5명의 똥에서 레고 머리를 찾았어요. 안타깝게도 41살의 남자 의사는 레고 ... ...
- 털, 털, 털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급증하는 2차 성징 때 몸 곳곳에 털이 자라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 하지만 털 성장에는 그밖에도 유전자나 영양 상태 등 정말 많은 요인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털=남성성’으로 보긴 어렵습니다. 친구들의 말은 가벼운 농담으로 받아쳐 보길 추천해요. 그리고 이 연구를 보면 털이 많다는 ...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외장 하드 크기의 미니온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미니온을 컴퓨터에 연결하면 연구실 밖 현장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캐런 미가 UC산타크루즈 유전학연구소 교수팀은 미니온을 이용해 인간이 가진 성염색체 중 X염색체의 DNA 염기서열을 해독했다. 연구팀은 155Gb(기가베이스·1Gb는 10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