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20여명 정도. 기업체를 포함해도 1백명 안팎이다.“이 분야에 앞선 나라에 비하면
작은
숫자입니다. 사이버 심리 연구는 학문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산업, 문화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극적인 육성이 필요합니다.”연구자가 없다보니 관련 연구소나 기업도 적은 편이다. 대표적인 ... ...
30년만에 등장한 수성탐사선 메신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을 이루며 굳기 65~70, 비중 33~35이다금속제 얇은 판막의 압력 감지 성능을 이용한 압력계
작은
압력변화에도 크게 편향하는 성질이 있어 특히 저기압의 압력 측정에 많이 이용된다 다이어프램의 압력으로 인해 변위된 양을 링크 · 기어 같은 기계장치로 확대하여 그 압력을 원형눈금판의 지침이 ... ...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관한 실험적 증거를 찾는 것이 될 것이다. 초끈이론물질은 덩어리가 아니라 진동하는
작은
끈으로 이뤄져있다는 이론. 끈의 진동이 강할수록 에너지가 높아진다. 초끈이론을 도입하면 중력을 포함한 4가지 기본 힘을 설명할 수 있으나 26차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물리세계에서 그 의미를 ... ...
생명체가 컴퓨터 속으로 들어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수천, 수만개의 성분과 반응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반복적이고 범위가
작은
기존의 분자생물학 연구만으로는 생명체의 기능과 구조를 밝히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컴퓨터에 가상실험 환경이나 모델을 만들어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드는 실험을 대신하려는 것이다. 생명현상 시뮬레이션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이루는 얼음과 알갱이의 크기에 대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구성 입자의 크기는 가루처럼
작은
것부터 낟알만하게 큰 것까지 다양했다. 또한 입자의 크기가 토성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카시니호의 고리 영상은 토성 고리를 이루는 입자가 대부분 얼음이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 ...
우주의 '
작은
귀신' 태양 같은 별의 최후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나머지 붉은빛은 질소원자가 전자 하나를 잃은 상태에서 나온 빛이다.태양은 50억년 후 ‘
작은
귀신’ 같은 성운을 뿜어낼 것이다. 바깥쪽의 가스는 초속 24km의 속도로 퍼져나가 1만년 후면 우주공간으로 흩어져 버릴 테고 중심부의 자그만 백색왜성은 10억년 동안 서서히 식어갈 것이다. 귀신 ... ...
카시니호가 보내온 토성 사진 퍼레이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접근이 막바지에 접어들던 6월 카시니호가 포착한 위성 피비. 표면에 크고
작은
규모의 크레이터가 많이 보인다. 피비는 태양계 밖의 혜성과 같은 물체가 태양계 형성 초창기에 유입돼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카시니호가 보내온 토성 사진 퍼레이드 태양계 타임캡슐 ... ...
열정과 끈기로 저온의 한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예정이다.극저온 냉동 보관 기술도 빼놓을 수 없다. 이미 수정체나 줄기세포, 효소 등
작은
세포들을 극저온 냉동보관하는 기술은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보다 더 큰 조직을 냉동 보관하는 기술은 성공한 사례가 없다. 저온공학 연구실이 풀어야 할 숙제다. 극저온 연구의 메카 저온공학 연구실의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영겁의 세월동안 거의 환경 변화가 없었다. 인간 활동 때문에 훼손된 적이 없기 때문에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환경친화적인 심해자원 채광 방법 개발을 위해 지금도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태평양의 거친 파도를 헤치며 연구하고 있다.'노틸' 은 어떤 잠수정? ‘노틸’ (Nautile)은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올해는 우선 사람들에게 센터를 많이 알릴 생각이다.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작은
문제들이 있으면 주저없이 센터의 문을 두드리라고 얘기한다. 그런 다음 내년부터 점차 제도화의 기틀도 마련할 예정이다.시민참여연구센터는 개소 한달이 채 못됐지만 이미 10여개의 과제를 의뢰 받은 상태다. 이 중 ... ...
이전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