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호르몬과 엔도르핀 같은 물질이 분비돼야 한다. 만약 이들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으면
작은
스트레스에도 적응하지 못해 심한 경우 목숨마저 위태로워질 수 있다. 따라서 예지자에게는 필요한 양만큼의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엔도르핀이 주입됐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스트레스처럼 질병은 ... ...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 이영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중금속을 먹어치운다. 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 식충 식물은 있어도 중금속을 먹는 식물이라니. 지난해 세계적 생명공학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 8월호에는 카드뮴과 납 등 중금속에 저항성을 지닌 유전자(YCF1)에 대한 흥미로운 논문이 실려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지속했다.또한 아폴로 계획은 무리하게 추진된 탓에 언론이 입을 봉하고 있는 사이 크고
작은
사고를 동반했다. 발사 전 로켓 추진체의 연료 폭발은 비일비재했고, 발사 후에 폭발하는 일도 적지 않았다. 1961-1964년까지 달의 근접 촬영을 위해 계획된 레인저 우주선도 6번 발사 모두 실패했다. 196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있다는 비선형성이 기후의 본질적인 특성이라는 말이다. 그러기에 우리 지구의 기후는
작은
변화에 의해 엄청난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인간에 의한 지구온난화로 어느 순간 기후는 완전 뒤바뀔 수 있는 것이다.우리 인간은 그동안 민감한 지구 기후의 심기를 얼마나 건드려온 것일까? 지구의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언젠가는 시신경이나 청신경이 손상된 장애도 극복될 수 있을지 모른다. 멀리 보고
작은
소리도 듣는다인공시청각 기술은 앞을 볼 수 없는 사람에게 시각을,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사람에게 청각 기능을 복원시켜 줄 수 있다. 미래의 인공시청각 기술은 손상된 시청각 기관을 복원할 뿐만 아니라,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손쉽게 찾을 수 있다.독수리성운의 밝기는 6.4등급이며 시직경은 보름달보다 약간
작은
25분각이다. 따라서 맨눈에는 보이지 않고 망원경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성운 성단의 복합 구조맨눈으로 먼저 방패자리의 은하수가 진한 영역을 찾아보자. 독수리자리 끝부분과 방패자리 맨 위쪽이 만나는 ... ...
공기,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세요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작은
구멍으로 물이 들어간 이유는?상온에서 탁구공 표면의 지름이 1mm가 채 되지 않는
작은
구멍으로 물을 넣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미 탁구공 속에 공기가 가득 차 있어 물이 들어갈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탁구공 속의 공기를 먼저 빼는 것이 이 실험의 핵심이다.여기서 압력이 일정할 때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민간이 개발한 로켓기가 세계 최초의 상업용 유인우주선이 되는 역사적사명의 첫발을 내디뎠다.세사람을 태우고 최초로 우주를 다녀오는 ... 때를 말한다태양의 코로나 · 행성상성운(行星狀星雲) · 성간공간(星間空間)처럼 밀도가
작은
가스체에서는 이런 상태가 나타나지 않지만 밀도가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단백질 분해효소가, 오른쪽 부분을 감마시크리타제가 각각 자른다. 그러면 P3라는
작은
단백질 조각이 만들어진다. P3는 현재까지 정확한 기능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독성은 없다고 알려져 있다.그런데 알파시크리타제 대신 베타시크리타제가 먼저 작용해 아밀로이드전구단백질의 중간이 아닌 ... ...
공동실험 연구의 새 패러다임 원격실험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수 없는 아주
작은
부분들을 nm(나노미터, 1nm=${10}^{-9}$m) 단위까지 자세히 관찰했다. nm라는
작은
단위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이 박사는 지구와 사과의 크기를 비교해 이해를 도왔다. 지구의 지름을 1m라고 생각할 때 사과의 지름은 1nm 가량 된다.학생들이 나노 세계에 흥미를 보이자 이 박사는 이날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