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하면 관절염이 완치되는 것은 미생물을 직접 이용하는 좋은 예이다바이러스와 그 밖의
작은
병균을 다른 병균이 침식하게 함으로써 치료하는 경우도 있다 미생물을 연구재료로 사용하는 유전학의 한 분야 1941년에 미국의 G W 비들과 E L 태텀이 자낭균의 일종인 붉은곰팡이를 사용한 생화학적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섬모의 회전으로 생기는 결절 내부의 유체 흐름을 알아보기 위해 형광빛을 띠는
작은
구슬을 집어넣었다. 놀랍게도 구슬은 빠른 속도로 왼쪽으로 이동했다. 즉 결절 속의 섬모는 심장이 발생하게 하는 신호 분자를 왼쪽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결절 속의 섬모를 분석한 결과 ...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두툼한 고급 도화지를 가져나온 꼬마녀석까지. 가을철 운동장 하늘은 형형색색 크고
작은
종이비행기들의 경연장이었다. 기껏 날아봤자 불과 5초 남짓. 단 몇초만 더 날아도 선망어린 시선을 한 몸에 받는다. 좀더 높이 멀리 날기를 바라는 마음은 한낱 공산일 뿐.정말 종이비행기의 비상(飛上)은 단 ... ...
동해에서 육지가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구성하는 대표적인 암석은 화강암이기 때문이다. 단 큰 규모의 화강암 덩어리가 아니라
작은
조각들이 발견됐기 때문에 울릉도 해저에 거대한 대륙지각이 있다고 확신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만약 실제로 동해 해저에 대륙지각이 만들어지고 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오랜 지질시대가 지난 후에 ... ...
쌍둥이 도형 만드는 렙타일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지금까지 발견된 유일한 렙-4 오각형이기도 하다(그림 1). 같은 요령으로, 6×9=54 개의
작은
정삼각형으로 스핑크스를 나눴다가 다시 6개의 정삼각형을 모으면 스핑크스가 렙-9 도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2).이런 방법을 이용하면 퍼즐 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오른쪽 도형 또한 렙-4(그림 3)면서 ... ...
KIST 폭발물 제거 로봇 이라크 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강성철 박사팀이 개발한 것으로 길이 74cm, 너비 47cm, 높이 29cm로 라면박스 정도 크기의
작은
로봇이다. 경사가 45도에 달하는 계단이나 울퉁불퉁한 길도 최대 시속 12km로 달릴 수 있다. 올해 4월 미국에서 열린 세계로봇경진대회에 참가했다. 현재 자이툰 부대에는 롭해즈와 함께 미국산 대형로봇인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박사 연구실에는 윌킨슨, 어번, 하스 박사가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유비퀴틴이라는
작은
단백질을 연구하고 있었다.유비퀴틴은 1975년 당시 면역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었고 흉선에서 최초로 분리됐다. 과학자들이 흉선 이외에 어디에 이 단백질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놀랍게도 모든 ... ...
마당과 대청마루에도 생태학은 숨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직접 전국 방방곡곡을 답사하며 관찰하고 사색한 내용이다. 개인의 삶과 철학, 일상의
작은
일들이 아름답게 어우러져 있는 2권의 책은 ‘생태학’의 긴장감을 잃지 않을까 염려하는 저자의 우려를 말끔히 씻어내고 읽는 사람들을 편안하게 생태학의 세계로 안내해준다.자연과 인간이 더불어 사는 ... ...
작은
수의 강한 법칙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 11, 12의 다음 숫자는 무엇일까? 이번에야말로 자연수를 차례로 나열하는 규칙에 따라 13?
작은
수의 강한 법칙에 따르면 아무리 많은 수를 가져다 놓아도 단 하나의 규칙을 만족하게 할 수 없다. 그렇지만 이 법칙대로라면 퍼즐 가운데 수열 문제들은 모두 무의미해져 버리고 말 것이다. 그런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냄새 분자가 이 단백질을 깨우는 일종의 스위치가 된다. 스위치가 켜지면 G단백질에서
작은
조각이 떨어져 나가고 이것이 세포 안에 있는 특수 효소(아데닐 사이클라제)를 자극한다. 이 효소가 세포 안에 cAMP라는 물질을 많이 만들면 세포막에 있는 특수 통로가 열려 이온들이 세포막 안팎으로 ... ...
이전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