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우주는 몇 차원일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식당에 가서 음식을 먹을 때 가끔 이런 요리를 집에서도 만들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 음식이 멋진 그릇에 담겨 있을 경우에는 특히 맛있어 보인다. 우주는 시간과 공간이라는 그릇에 담겨 있는 물질로 만들어진 맛있고 멋진 요리다. 그러면 우리가 사는 시간과 공간은 어떤 모습일까 ... ...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찾고 싶은 충동을 그냥 지나치지 못할 것이다. 무지개가 언제 나올지 우리 모두는 생각보다 뛰어난 직관을 갖고 있다. 그 느낌을 믿어보자. 습기가 가득한 날, 해와 머리를 잇는 가상의 직선 주변 42°를 찾는다면 경이로운 빛의 축제를 함께할 수 있다 ... ...
- 전기료 폭탄 피하는 에너지 절약 비법 3 + α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바꿔보자. 초기 비용이 좀 들어가지만 수명도 길고, 전기 요금도 싸진다.누진세를 꼭 생각하자한달에 평균 296kWh의 전기를 사용해 요금을 4만 1560원 납부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월 전기 사용량이 19.6kWh에 월3167원 드는 김치 냉장고를추가로 구입했을 때 내야하는 전기 요금은 4만 4727원이 아니라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움직일 때 최단 시간으로 갈 수 있는 경로를 택한다는 것이다.한낱 미물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던 개미가 어떻게 이런 어려운 계산을 할 수 있을까. 개미의 수학 능력을 보여주는 놀라운 연구 세 편을 소개한다.#1 먹이? 거기서 네 발짝만 가~수를 세거나 간단한 셈을 할 수 있느냐는 동물의 지능을 ... ...
- [화보] 수학으로 질주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사용해왔다. 하지만 독일의 엔지니어 펠릭스 방켈은 실린더 엔진이 너무 복잡하다고 생각해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 연구했다. 그 결과 1929년에 회전식 엔진을 완성했으며, 그의 이름을 따서 방켈 엔진 혹은 로터리 엔진이라고 부른다.로터리 엔진의 연소실은 에피트로코이드 곡선 모양이다(그림 참조 ... ...
- [20세기의 수학자] 방랑의 수학자 폴 에르되시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수학 문제를 해결하고는 다음은 어느 도시의 누구를 방문할까를 묻고, “아 그거 좋은 생각이요!” 하고는 총총히 새로운 방문지로 떠나는 모습을 상상하면 된다.에르되시는 강연료나 저작료로 받은 수입은 주위 사람들에게 대부분 주고, 다시 새 방문지에서 친구들의 도움으로 지내곤 했다. 이는 1 ... ...
- 네안데르탈 학당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실은 동남아시아에서 왔다고 하면 어떤 기분이 들까요. 거부감이 들까요. 그렇다면 한번 생각해 보세요. 그 거부감이 혹시 지금 한국인들이 동남아시아 사람들에게 갖고 있는 편견에서 나온 것은 아닐지를요. 그렇다면, 20세기 초 유럽인들이 네안데르탈인을 보며 갖던 편견과 무엇이 다를까요 ... ...
- 향 분자에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거품이 보글보글 나 있는 게 아니겠어요? 설거지하다가 튄 비누거품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좀 불쾌했어요. 하지만 그것도 잠시. 저는 더욱 깜짝 놀라고 말았죠. 글쎄 이 거품이 바로 소스라는 거예요. 소스라면 음식을 더 맛있게 만드는 마법의 재료잖아요?최근 거품 형태의 소스가 인기라는 ... ...
- “정답 없는 문제를 풀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또 모방을 두려워하면 안됩니다. 그런 다음에야 비로소 새롭고 흥미로운 탐구주제를 생각해낼 수 있을 겁니다.김예지 교수님께서 학생들에게 강조하시고픈 마음가짐이 있나요?합리적 사고, 비판적 사고, 창조적 사고 이렇게 3가지입니다.합리적 사고란 암기하지 않고 논리로 해결하는 능력이고, ... ...
- [가상 인터뷰] 쌍둥이 소수 추측, 해결 실마리를 찾다!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작업은 아닙니다. 제 증명은 앞으로 쌍둥이 소수 추측을 해결할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해요.Q. 그렇군요. 죄송한데…, 쌍둥이 소수가 뭔가요?A. 허허. 처음부터 차근차근 설명해 드리죠. 먼저, 소수란 1과 자기 자신만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1보다 큰 양의 정수를 말해요. 이를테면 2, 3, 5, 7, 11, 13, 17, ... ...
이전5645655665675685695705715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