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하비가 1628년 ‘동물의 심장과 피의 운동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를 출간한지 21년이
지난
후였다.지금 하비의 이론은 상식이 됐다. 유치원에서 아이들에게 사람의 몸 속을 처음 가르칠 때도 심장에서부터 피가 흘러 온몸을 돌고 다시 심장으로 흘러 들어가는 모형을 사용한다. 심지어 아이들이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고대 이집트 투탕카멘왕의 양어머니였던 네페르티티의 얼굴을 복원하는데 성공했다.
지난
2002년에는 맨체스터대 연구팀이 예루살렘 부근 도로공사 현장에서 발견된 1세기 유대인의 두개골 중 대표적인 형태를 가진 것을 골라 예수의 얼굴을 추정하기도 했다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도입하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화학계의 앙드레 김연구단의 이 같은 성과들은
지난
2002년부터 과학기술부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우리는 화학계의 앙드레 김이라고 할 수 있죠. 옷감 대신 분자를 자르고 붙인다는 점이 다를 뿐입니다.”연구단이 ‘자르고 붙여’ 만든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 요즘 LCD는 ‘인치전쟁’ 중이다. 몸집 불리기에 여념이 없다. 현재까지 승자는 삼성.
지난
3월 82인치를 개발해 LCD 전쟁의 강자로 떠올랐다. 승리의 비결은 뭘까?삼성전자가 세대마다 발표한 LCD 크기를 보면 재밌는 결과가 나타난다. 1세대 LCD는 270×360mm, 2세대는 370×470mm로 면적이 약 1.8배 늘었다.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입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점 대신 면으로 구조 진단기존에도 이런 방법은 있었다.
지난
1990년대까지 드물지만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해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한 논문이 발표되곤 했다. 하지만 당시 이들이 사용한 것은 엄밀히 말해 ‘점’들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었다. 단백질을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정부가 앞장선다미국과학교사협회(NSTA)와 미국과학교육학회(NARST)의 연례행사가
지난
4월 댈러스에서 8일 동안 잇달아 열렸다. 올해로 53회를 맞는 NSTA 컨벤션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몰린 곳은 세계 최대 규모의 과학도서 및 교구 전시회다. 각국의 과학교육 전문가 1만7000명이 참가한 가운데 5000평 ... ...
물리가 세계를 비추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지난
4월 18일은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떠난 지 정확히 50년 된 날이었다. 그가 전쟁을 피해 유럽의 망명객으로 노년의 22년을 보낸 미국 뉴저지주의 프린스턴시는 남다른 감회에 젖었다. 올해 초부터 여러 지역신문과 프린스턴대 동문회지에는 그를 추모하는 기사가 실렸다. 그리고 서거 5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함께 이라크 아르빌에 파견됐던 국산로봇 롭해즈의 귀국신고식이
지난
3월 9일 열렸다.
지난
해 8월 자이툰 부대를 따라 나선지 꼭 217일만의 일이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유진로보틱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공동 개발한 롭해즈는 사람을 대신해 폭발물 탐지와 제거 등 위험임무를 수행하는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딴 후 하늘에서 8000시간을 머문 지도 오래 됐다. 남극에서 어떤 어려움이 닥칠지는
지난
번 경험으로 이미 알고 있다.미국의 전설적인 조종사 로스코 터너는 내 영웅이다. 어린 시절 그와 함께 비행한 후 그는 내게 비행의 세 가지 규칙을 얘기했다. 비행기와 사랑에 빠지지 말 것, 충돌을 피하지 말고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성장주기를 갖기 때문이다. ‘하룻밤 사이에 머리가 하얗게 샐’ 일은 없다는 얘기.
지난
해 12월 미국 하버드대 나시무라 에미 교수팀은 백발이 되는데 Bc12와 Mitf라는 두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 이들 유전자가 멜라노사이트로 분화하는 줄기세포의 생존을 돕는다는 것. 연구팀이 ... ...
이전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