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레고 마인드스톰을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겨뤘다. 로봇의 기능뿐만 아니라 디자인, 프레젠테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심사한다.
지난
해 우리나라는 초등씨름부문에서 3위에 입상했다. 국내에서는 대한창작지능로봇협회가 주최하는 제3회 전국창작지능로봇경진대회가 오는 8월에 열린다. 여기서 종합대회에 우승한 팀은 11월 태국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통해 최근까지 큰 진전이 없던 한국의 척추고생물학 분야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그가
지난
2002년 경남 하동군에서 발견한 악어화석 세계 고생물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속(屬)과 종(種)의 악어인 것으로 밝혀냈다. 일명 ‘하동수쿠스 아세르덴티스’. 이 박사는 또 시화호 주변에서 발견된 ... ...
허풍을 마시는 음료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폴링 교수는 비타민C가 감기에 효과가 있고 많이 섭취할수록 좋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난
5월 국내 대한의학회와 대한의사협회에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실제로 비타민C는 감기에 효과가 미미하다고 한다.드링크의 ‘허풍’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알칼리성 이온 음료는 실제로 pH 4.7의 산성 ... ...
신문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직접 사진을 올릴 수 있게 해 사진 데이터베이스를 크게 확충했다. 이 회사 역시
지난
해 쓰나미가 동남아시아를 강타했을 때 신문에 쓴 사진의 대다수가 동남아 현지에서 관광객들이 휴대전화로 찍어 보낸 것이었다. VG 논설주간 토리 페더슨은 “예전엔 대형 참사 취재를 위해 헬기와 취재장비를 ... ...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제는 그 검은 조직이 다시 썰렁 홈즈에게 도전장을 던졌다.
지난
번과는 다른 그림자 문제로 승부를 걸어 온 것이다. 다시 위기에 처한 썰렁 홈즈. 과연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가 내는 문제를 풀 수 있을까?꺼진 양초의 그림자, 그 진실을 밝혀라!“감히 우리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일을 ... ...
구름 위에서 즐기는 웹서핑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사용이 불가능했지만 최근 출시되는 휴대전화는 예전에 비해 전자파를 적게 방출한다.
지난
해 12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담당관들은 휴대전화의 전자파 방출을 최소화해 운항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는 조건으로 기내 사용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이에 아메리칸 항공 등은 시험비행을 거쳐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때 세계 많은 전문가들은 242개라는 많은 난자를 사용했다는 점에 놀라워했다. 이에 대해
지난
해 5월 영국 과학전문지 ‘네이처’는 황 교수의 연구원 중 2명이 난자를 제공한 것 같다고 보도해 윤리문제를 촉발시켰다. 당시 황 교수팀은 이를 부인했다. 생명과학 연구 국제지침에 따르면 연구에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연구 결과를 반영하듯 일부 병원들도 가상현실치료장치 도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 중
지난
5월 13일 경기도 광주 연세대 정신건강병원에 문을 연 가상현실클리닉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문을 연 정신분열 전문치료 클리닉. 이곳에서는 연세대 김재진 교수와 한양대 김인영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계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200만개의 트랜지스터가 들어 있다.트랜지스터 하나의 평균 가격은 1954년 5.52달러였지만
지난
해에는 0.000000191달러였다. 신문에 인쇄된 글자 하나 값이다. 전기 스위치를 15조번 켜고 끄려면 2만5000년 정도 걸리지만 요즘 트랜지스터는 1초에 같은 수만큼 켜고 끌 수 있다. 무어의 신화는 계속되는가?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있다. 북극해뿐 아니라 주변 해양에서 열과 염분의 분포를 뒤흔들 수 있는 양이다.
지난
해 초 개봉돼 사람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던 영화 ‘투모로우’의 과학적 근거는 바로 이것이다. 빙하가 녹으면 북대서양에서는 바닷물의 염분이 줄어들면서 밀도가 작아져 바닷속으로 가라앉는 해류가 ... ...
이전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