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더해도 똑같은 직사각형의 마술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Q8개의 조각으로 옆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을 만들었다. 여기에 정사각형 조각(9번)을 집어넣어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을까? 그리고 다시 9번 조각보다 2배 큰 직사각 ... 직접 이 페이지를 잘라서 해 보시라. 나중에 과학동아 한 권을 새로 사는 것 잊지 마시고.
지난
달 정답_2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같은 파생 용어들이 잇달아 등장했다.‘황의 속도’로 진화하는 기술뉴욕타임스는
지난
98년 2월 무어의 법칙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선언했다. ‘무어의 법칙은 이제 더 이상 타당하지 않다. 이 법칙은 트랜지스터 하나에 숫자를 하나 이상 저장하는 플래시 공학 같은 새로운 개발품들 때문에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잘 살피자. 흑백사진, 뭔가 있어 보이는 이유왜 흑백 사진은 ‘뭔가 있어’ 보일까.
지난
2004년 연세대 인지과학연구소 연구팀은 20대 남녀 88명에게 컬러사진과 흑백사진 180장을 번갈아 보여주고 감성반응을 측정했다. 실험 결과 컬러사진을 흑백으로 바꿨을 때 감성이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하는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하비가 1628년 ‘동물의 심장과 피의 운동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를 출간한지 21년이
지난
후였다.지금 하비의 이론은 상식이 됐다. 유치원에서 아이들에게 사람의 몸 속을 처음 가르칠 때도 심장에서부터 피가 흘러 온몸을 돌고 다시 심장으로 흘러 들어가는 모형을 사용한다. 심지어 아이들이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고대 이집트 투탕카멘왕의 양어머니였던 네페르티티의 얼굴을 복원하는데 성공했다.
지난
2002년에는 맨체스터대 연구팀이 예루살렘 부근 도로공사 현장에서 발견된 1세기 유대인의 두개골 중 대표적인 형태를 가진 것을 골라 예수의 얼굴을 추정하기도 했다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도입하는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화학계의 앙드레 김연구단의 이 같은 성과들은
지난
2002년부터 과학기술부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우리는 화학계의 앙드레 김이라고 할 수 있죠. 옷감 대신 분자를 자르고 붙인다는 점이 다를 뿐입니다.”연구단이 ‘자르고 붙여’ 만든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플래시메모리가 65나노미터(nm=10억분의 1m)의 벽을 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지난
해 9월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60nm 플래시메모리를 선보였다.용량도 8Gb로 세계 최대였다. 인텔은 올해 65nm 공정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며, 다른 경쟁사들은 아직 90nm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삼성전자가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때문에 비로소 가능해졌다.인터넷 트래픽도 매년 2배씩 안정적으로 증가한 것이 아니라
지난
30년간 평균적으로 매년 2배의 성장이 있었던 것일 뿐, 실제로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 4년 동안 100배가 성장했다. 평균 16배 정도 성장했어야 정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당시에는 월드와이드웹(WWW)의 보급과 ... ...
북한 핵실험 어떻게 이뤄질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지난
5월 11일 북한은 영변의 5메가와트(MW)급 원자로에서 나온 8000개의 사용후 핵연료봉을 모두 꺼냈다고 발표했다. 이를 물에 넣어 냉각한 다음 우라늄을 질산에 녹여 화학처리하면 핵폭탄의 원료인 농축 플루토늄(Pu-239)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5개 정도의 핵폭탄을 만들 수 있다. 이로써 과연 북한이 ... ...
인터넷 종량제 논란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높인다.이 때문에 다른 나라들도 정액제와 종량제를 병행 시행하는 사례가 많다.
지난
해 5월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30개 나라 가운데 15개국이 정액제, 9개국이 종량제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량제를 시행하고 있다는 9개국 중 ... ...
이전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