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때 세계 많은 전문가들은 242개라는 많은 난자를 사용했다는 점에 놀라워했다. 이에 대해
지난
해 5월 영국 과학전문지 ‘네이처’는 황 교수의 연구원 중 2명이 난자를 제공한 것 같다고 보도해 윤리문제를 촉발시켰다. 당시 황 교수팀은 이를 부인했다. 생명과학 연구 국제지침에 따르면 연구에 ... ...
의사가 안내하는 몸속 미시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지난
5월 막을 내린 '제1회 의학인체사진전'에 출품된 몇몇 작품을 소개한다. 의사들이 직접 연구나 진료를 하면서 얻은 인체 사진들에 미학적 의미를 담아 출품했다. 이번 사진전은 대한의사협회 제31차 종합학술대회의 일환으로 대한의학회와 충북대 의학연구정보센터의 후원을 받아 마련됐다.01.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나이 든 기생충학자의 대부분은 회충이 좋아서 기생충학을 전공했다).그로부터 30여년이
지난
지금, 회충의 감염률은 불과 0.1%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금도 이따금씩 회충 환자가 발견돼 기생충학자를 반갑게 하지만, 회충은 이제 거의 사라진 상태다. 도시에 사는 사람이라면 회충에 대해 별로 걱정할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같은 파생 용어들이 잇달아 등장했다.‘황의 속도’로 진화하는 기술뉴욕타임스는
지난
98년 2월 무어의 법칙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선언했다. ‘무어의 법칙은 이제 더 이상 타당하지 않다. 이 법칙은 트랜지스터 하나에 숫자를 하나 이상 저장하는 플래시 공학 같은 새로운 개발품들 때문에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있다. 북극해뿐 아니라 주변 해양에서 열과 염분의 분포를 뒤흔들 수 있는 양이다.
지난
해 초 개봉돼 사람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던 영화 ‘투모로우’의 과학적 근거는 바로 이것이다. 빙하가 녹으면 북대서양에서는 바닷물의 염분이 줄어들면서 밀도가 작아져 바닷속으로 가라앉는 해류가 ... ...
구름 위에서 즐기는 웹서핑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사용이 불가능했지만 최근 출시되는 휴대전화는 예전에 비해 전자파를 적게 방출한다.
지난
해 12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담당관들은 휴대전화의 전자파 방출을 최소화해 운항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는 조건으로 기내 사용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이에 아메리칸 항공 등은 시험비행을 거쳐 ... ...
인터넷 종량제 논란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높인다.이 때문에 다른 나라들도 정액제와 종량제를 병행 시행하는 사례가 많다.
지난
해 5월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30개 나라 가운데 15개국이 정액제, 9개국이 종량제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량제를 시행하고 있다는 9개국 중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연구 결과를 반영하듯 일부 병원들도 가상현실치료장치 도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 중
지난
5월 13일 경기도 광주 연세대 정신건강병원에 문을 연 가상현실클리닉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문을 연 정신분열 전문치료 클리닉. 이곳에서는 연세대 김재진 교수와 한양대 김인영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계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200만개의 트랜지스터가 들어 있다.트랜지스터 하나의 평균 가격은 1954년 5.52달러였지만
지난
해에는 0.000000191달러였다. 신문에 인쇄된 글자 하나 값이다. 전기 스위치를 15조번 켜고 끄려면 2만5000년 정도 걸리지만 요즘 트랜지스터는 1초에 같은 수만큼 켜고 끌 수 있다. 무어의 신화는 계속되는가?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잘 살피자. 흑백사진, 뭔가 있어 보이는 이유왜 흑백 사진은 ‘뭔가 있어’ 보일까.
지난
2004년 연세대 인지과학연구소 연구팀은 20대 남녀 88명에게 컬러사진과 흑백사진 180장을 번갈아 보여주고 감성반응을 측정했다. 실험 결과 컬러사진을 흑백으로 바꿨을 때 감성이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하는 ... ...
이전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