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글라이딩을 한다. 이렇게 날아가는 거리는 무려 100m. 물속에서 헤엄치는 물뱀도 있을
정도
로 가늘고 긴 몸으로 움직이는 데 한계가 없다(물뱀은 바다뱀의 일종으로 강이나 개울에서 헤엄치는 뱀은 물뱀이 아니다).뛰어난 환경 적응력 덕분에 뱀은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동물이다. 물론 도심에서 ... ...
안드로메다와 아스트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의미로 쓰인다는 게 억울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안드로메다 공주는 페르세우스가 반할
정도
로 아름다웠고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와 무척 닮아 있기 때문이지요.그래서 ‘아스트랄하다’라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매우 심오한 무언가를 지칭하지만 ... ...
① 조규진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로봇에 적용했어요. 그랬더니 로봇 크기의 30배 높이까지 뛰었죠. 이렇게 만드는 데 3년
정도
걸렸어요.융합이 많이 필요한 분야는 재밌긴 하지만 힘들죠. 그냥 섞는다고 융합이 되는 건 아니에요. 자기 나름의 강점이 있는 상태에서 다른 것을 적용해야 시너지 효과가 일어나는 겁니다. 저도 그냥 ... ...
산화·환원 반응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 비밀은 바로 인디고카민 지시약입니다. 인디고카민은 산화·환원 지시약이에요. 산화된
정도
에 따라 빨간색이나 초록색을 띠죠. 인디고카민이 용액 속의 산소와 결합해 많은 양이 산화되면 용액은 초록색을 띱니다. 그런데 가만히 두면 포도당이 산소를 흡수하면서 인디고카민은 환원되죠. 그러면 ... ...
[1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수 있다. 주로 독을 분비하는 개구리는 손바닥만 한 큰 개구리가 아니라 엄지손톱의 크기
정도
로 작다. 왜 이런 작은 개구리가 살벌한 독을 분비하게 됐을까? 이유는 개구리의 포식자인 뱀 때문이다. 처음에 개구리는 약간의 독만 갖고 있었다. 그런데 뱀이 개구리를 먹고도 멀쩡하게 살아남자,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것이 훨씬 간편하고 유용하다.제트여객기가 출현했지만 뉴욕이 아니라 수원에 가는
정도
라면 기차를 타는 것이 훨씬 간편한 것과 같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뉴턴은 안녕하십니까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PART 2. 큐리오시티는 뉴턴의 눈으로 길을 찾는다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 ...
외계행성은 의외로 가까운 곳에?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겨우 3배 먼 거리에 위치해 있다. 태양과 비슷한 G형 주계열성인데, 우주에 약 4%밖에 없을
정도
로 희귀하다. 더구나 우주에 흔한 다연성계(쌍성이나 삼중성 등 여러 별이 도는 항성계)가 아니라, 태양계처럼 항성 하나만 있는 별이다. 때문에 중력의 교란이 없고 온도의 변화가 다소 적다.연구팀은 ... ...
북대서양 ‘꼬마’ 폭풍, 지구 열 순환 돕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북대서양에서 발생하는 중간규모 폭풍 발생빈도를 표시한 그래프.]태풍보다 작은 중간 규모 폭풍이 지구 열 순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 밝혀낼 수 있었지만 언제, 어떻게, 얼마나 자주 폭풍이 나타나는지 예측할 수 있을
정도
로 시뮬레이션 모델이 정교하지는 않다”말했다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100kg으로 추정된다. 만약 북한이 은하 3호를 ICBM으로 전환하면 1만km 사거리에 800~1000kg
정도
의 탄두를 운반할 수 있을 걸로 보인다. 하지만 북한이 가진 구형 핵폭탄은 성능이 낮아 몇 톤이 넘어야 충분한 성능을 낼 수 있다. 일본 히로시마에 떨어졌던 원자폭탄은 무게가 4톤에 달했다.북한이 정말 ... ...
참수리가 찾아오는 한강 모래섬, 당정섬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참수리’다. 특히 참수리는 작년 우리나라를 찾는 개체가 7마리밖에 안될
정도
로 귀한 새다. 이 중 5마리가 당정섬에서 관찰됐다. 참수리가 당정섬을 처음 찾은 것은 2003년. 서 대표는 당시 1년생 어린 새 두 마리가 당정섬을 찾았다고 회상했다. 완전히 자랄 때까지 4년이 걸리는 참수리는 깃털 ... ...
이전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