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따져보거나 모델링을 통해 대기 현상을 추측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며 “직접적으로 물을 찾는 건 현재 기술로는 어렵다”고 말했다.그래도 우주에 물이 많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우리은하 안의 성간 가스에서는 물이 많이 발견됐고, 다른 은하도 ... ...
-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분산방식의 와이파이의 큰 문제점의 하나는 ‘히든터미널’ 문제이다. 거리가 어느 정도 떨어져서 분산적으로 동작하는 AP나 스마트폰들이 서로의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고 동시에 전송해 신호가 충돌하게 되는 문제를 의미한다. 한 채널에서 동작하는 AP와 스마트폰들이 많이 있을 경우 이러한 ... ...
-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있는 것과는 천지차이다. 덕분에 폭설 등 재난에 대비하는 소방방재청에서는 눈이 5cm정도 올 경우에 대비해 재난을 대비한다.함박눈이 잘 뭉쳐지는 이유는?즐거움과 재난을 동시에 주는 눈이지만 사실 아주 간단한 공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화학식 H2O, 물이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H2O가 눈만이 ... ...
- 해외 식물 자원 대전에 다 모였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들어가기도 좁았기 때문이다. 박상홍 박사는 “신선하게 보존하기 위해 여름에도 4℃ 정도 온도를 유지한다”며 “여름에 왔다면 이 곳의 진짜 온도를 느낄 수 있었을 것”이라며 웃었다.청소년 기자를 안내한 최상호 박사는 “연구 능력이 부족하지만 자원이 풍부한 개발국과 기술이 풍부한 ... ...
- 달걀의 누명을 벗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살다살다 달걀과 대화하는 날이 올 줄이야…. 너희 진짜 달걀 맞니?그럼요. 닭이 낳은 알, 달걀이 맞습니다~! 닭의 ‘난자’이기도 하고 ... 지나치게 섭취할 위험도 있어요. 비만일 경우 하루 한두 개, 건강한 사람은 하루 세 개 정도가 좋아요. 닥터 그랜마도 편식 그만하고 골고루 좀 드세요 ... ...
- 가장 특별한 스페셜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아이스하키와 무척 닮았어요. 하지만 도넛 모양인 퍽은 손가락으로 누르면 쑤욱 들어갈 정도로 부드럽게 만들어, 날아오는 퍽을 맞아도 아프지 않아요. 긴 원통모양의 스틱을 퍽 구멍에 끼워 드리블하거나 골을 쏘아요.플로어하키아이스하키와 많이 닮았지만 빙상장 대신 나무나 우레탄이 깔린 ...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는 무인기라도 실시간으로 조종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약 1초 정도의 시간 지연이 생긴다. 전자기기를 통과할 때마다 신호를 처리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에서 열리는 축구 경기를 위성 방송으로 시청할 때 시간 지연이 생기는 것과 같다.프레데터(MQ-1)나 리퍼(MQ ... ...
- 물질파로 시간·질량 잰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이 진동수의 차이는 측정이 가능하다. 아직은 현존 최고의 원자시계보다 1억 배 정도 정확도가 떨어지지만, 앞으로 따라 잡을 수 있을 전망이다.뮬러 교수는 “시간과 질량의 연관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며 “시간을 이용해 물질의 질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도 ... ...
- 암 전이 메커니즘 밝혀냈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처음 생겼을 때는 이동능력이 거의 없어서 제자리에서만 증식을 반복하지만, 어느 정도 자라게 되면 일부 암세포가 이동할 수 있는, 즉 전이가 가능한 형태로 바뀐다. 그동안 암세포의 이동에 칼슘 이온이 관련된 것은 알려져 있었지만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 ...
- 운동 많이 하면 뇌가 커진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이용해 촬영했다. 그 결과 운동을 많이 한 쥐는 일반 쥐에 비해 중뇌가 평균 13% 정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 뇌 부피나 소뇌는 운동 여부와 관계없이 부피와 질량이 비슷했다.중뇌는 시각이나 청각, 운동 능력과 연관되는 부위다. 이 부위의 크기가 크면 그만큼 관련 감각이나 운동 부위가 ... ...
이전5555565575585595605615625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