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스페셜
"
못
"(으)로 총 75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현실인것처럼 느껴지게 만들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연구에 의하면 현재에 집중하지
못
하고 딴 생각이 많은 사람들은 그 내용이 어떤 것이든 상관없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실제로 사서 불행한 시간을 살고 따라서 불행한 경향이 나타난다(Killingsworth & Gilbert, 2010). 시간과 공간을 떠나 과거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이르는 적색거성이 존재한다. 다만 자외선 피크는 동반성-충격 모형이 예측하는 값에
못
미쳐 아쉬움을 남겼다.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몇 가지 가능한 설명을 제시하면서도 비슷한 관측이 더 쌓여야 이론 모형이 완벽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 은하에서 신성 폭발은 일 년에 수십 차례 ... ...
OOOO 잘 하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 잘 돕는다
2017.08.13
등 ‘본인’ 감정 조절이 잘 안 되는 경우, 자기가 괴로워져서 상대방을 위하는 행동을
못
보이게 되는 반면 감정 조절을 잘 하는 사람들은 이 괴로움을 빨리 떨쳐버리고 제일 중요한 ‘도움 행동’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일례로 Panfile 등의 연구자들은 3세 아이들을 방 안에 혼자 두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밝혀졌다. 그런데 디곡신은 환자에 따라 약효가 들쑥날쑥했다. 원인을 알아보니 효과를
못
본 사람들의 분변에서 디곡신 대신 다이하이드로디곡신 농도가 높았다. 이런 사람의 장에 있는 에게르텔라 렌타(Eggerthella lenta)라는 박테리아가 디곡신을 환원시켜 활성이 없는 다이하이드로디곡신으로 ... ...
스트레스에는 ‘잠’이 보약인 이유
2017.08.06
언급하기도 했다. 나의 경우 충격적인 일이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경우 잠을
못
자고 내내 뒤척거리며 생각하는 편이다. 어쩌면 그래서 더 다음 날에도, 그 다음 날에도 계속 그 일이 생각나고 다른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 등 충격의 여파가 오래 가는 것일지 모르겠단 생각이 들었다. 다음부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있는 칼슘의 97%가 칼슘40이고 2%가 칼슘44인데 후자의 경우 그 기원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
했다. 그런데 칼슘44가 SN1991bg 유형 초신성 폭발에서 생기는 티타늄44의 붕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면 얘기가 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태양계가 형성될 때 무거운 원소 대부분은 우주를 떠도는 초신성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지표로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일수록 짧은 시간에 급격히 혈당을 올리는 대신 얼마
못
가 뚝 떨어진다. 반대로 혈당지수가 낮은 음식일수록 혈당 상승과 하락이 완만하다. 똑같은 칼로리를 섭취하더라도 혈당지수가 낮으면 그만큼 포만감이 오래 간다. 실제 아침에 동일한 칼로리를 섭취하더라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그렇다면 문화가 더 발달한 동주시대 여성의 삶이 어쩌다 수천 년 전 여성의 삶보다도
못
하게 된 것일까. 주나라는 봉건제 국가로 서주 말기만 해도 800여 도시국가(제후국)가 존재했는데 동주시대로 넘어오면서 본가인 주나라가 쇠락하자 제후국들의 영토병합 전쟁이 본격화했다. 그 결과 공자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못
할 것”이라고 썼다. 과학자들이 호기심에 이끌려 살았던 좋은 시절은 결코 다시 오지
못
할 것이라는 예감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사이언스 지식IN] 그 많던 까마귀는 어디로 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21
권기호 울산시청 자연환경 담당 사무관은 “철새가 오가는 것은 자연의 섭리인데 억지로
못
오게 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오히려 겨울에 떼까마귀가 많이 오는 것을 기회 삼아 떼까마귀 군무 같은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인근 지역을 철새 마을로 지정해 친환경 마을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합니다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