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못"(으)로 총 75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첫 인상이 중요하다2018.10.27
- 신체적 매력도와 독립적으로 일어났다. 잘생겼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사람일 것이라거나 못 생겼다고 해서 무조건 나쁜 사람일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짧은 시간에도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다양한 특성들을 유추해 냈다는 것이다. 한 가지 흥미로운 현상은 주어진 시간이 0.1초, 0.5초, 1초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2018.09.18
- “난 그저 그때까지 살아있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지만 ‘그때까지 살아있지 못하고’ 2001년 79세에 타계했다. 컬렌드의 연구를 바탕으로 콕스가 원인을 밝혀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안타까운 일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 [팩트체크] 어설픈 과기계 캠코더 인사 의혹 제기동아사이언스 l2018.09.05
- 의원은 “오전에 언론을 통해 보도된 기사를 보고 자료에 (김명자 회장과 관련해) 잘못된 내용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시 당에 알리고 정정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바른미래당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자료에서 김 회장과 관련한 내용을 삭제한 뒤 다시 수정한 자료를 공개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2018.09.04
- 안 된다. 독성 펩티드가 1000만 가지 이상 존재할 것으로 보이는 거미류의 경우는 0.01%에도 못 미친다. 독샘의 펩티드 유전자 전사체(transcriptome) 분석과 독액의 펩티드 단백질 분석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앞으로 얼마나 많은 놀라운 약물들이 나올지 기대된다. ‘흙 속의 진주’가 아니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2018.09.01
- 네가 하는 것이 참 쉬워 보인다고 얘기하는 것이 실례인 것처럼 나에게도 이렇게 쉬운 걸 못하냐고 질타하는 것 역시 실례일 것이다. 뭐 하나 쉬운 게 하나 없다는 작은 진리가 때로 서로에게 해방감을 가져다 주는 이유다. Kardas, M., & O’Brien, E. (2018). Easier seen than done: Merely watching others perform can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2018.07.31
- 맡는 게 본 역할은 아닐 것이다. 아마도 혈액에 존재할 파트너 분자는 아직 밝히지 못했다. 놀랍게도 OR2AT4라는 후각수용체는 골수성백혈병과 관련된 것으로 밝혀졌다. OR2AT4는 후각상피에 존재하는데, 고급스런 나무향이 나는 냄새분자인 샌달로어(sandalore)를 인식한다. 그런데 백혈구 표면에도 OR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2018.06.19
- 평범한 아이들은 그림을 배워도, 그림을 배우지 않은 이런 재능 있는 아이들을 따라가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연구자들은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3만 년 전 유럽의 동굴벽화가 자폐 성향인 사람의 작품이고 따라서 이때 이미 인류는 이런 사람들을 우대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즉 사회성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것이다. 수면장애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카페인과 연관성을 알면서도 좀처럼 커피를 끊지 못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카페인의 생리학을 떠올린다면 카페인 섭취량은 꽤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즉 커피를 무척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그동안 무심코 먹었던 다른 카페인 함유 음식들은 조금만 신경 쓰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식 얄팍할수록 자신감은 더 커진다2018.06.09
- 과대평가한 정도가 가장 심했던 사람들은 퀴즈에서 낮은 점수를 기록했지만 답을 하나도 못 맞춘 것은 아니고 ‘아주 조금’ 정답을 맞췄던 사람들이었다. 아예 관심도 없고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보다 ‘조금’ 아는 사람들이 자신의 지적 수준을 크게 과신했다는 것이다. 어떤 분야에 대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환산하면 1190cc 내외다. 노화로 뇌가 약간 줄어들 수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남성 평균에 못 미치는 크기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