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면"(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척추동물의 몸속에는 외부 물질을 구별하는 고유한 항원이 있고, 세포는 그 항원을 표면에 돌출시키는데, 이를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라 한다. HLA 유전자는 MHC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바루 베나세라프는 기니피그의 MHC를 발견했다. 스넬과 마찬가지로 유전적으로 비슷한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쪼개 병원체가 가진 항원의 일부를 세포 표면에 위치시킨다. 림프구인 T세포는 세포 표면에서 항원을 인식한 뒤 스스로 바이러스를 공격할 수 있도록 분화하고, B세포는 바이러스를 중화할 수 있는 항체를 생성한다. 그중 일부는 기억세포로 분화하며 추후 동일한 항원에 대해 면역반응을 빠르고 ...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위치를 확인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수면으로 올라와 GPS 신호를 받아야 했어. 만일 바다 표면이 얼면 바다 위로 올라오지 못할 수도 있었어. 반면, 난 바닷속에서도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음파로 위치를 파악하는 ‘소나’ 기술을 활용하거든. 나는 소나 장치로 음파를 쏘아 해저지형이나 빙하에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의 변종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CoV)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표면에 왕관 모양의 돌기(스파이크 단백질)가 있어 ‘코로나(왕관)’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특이한 구조가 사스 확산에 엄청난 역할을 했다. 연구에 따르면 세포에는 ACE2라는 막관통단백질이 있는데, 이 ...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때문에 에볼라 출혈열 유행병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렸다.에볼라바이러스는 숙주세포 표면 수용체에 바이러스의 당단백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숙주세포 속으로 침투한다. 이때 감염된 세포는 출혈을 일으키며 혈관에서 떨어져 나오고, 심하면 혈액 부족 현상이 나타난다. 에볼라바이러스는 소변, ...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숙주세포에 다시 붙는 것을 방지 하기도 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경우 바이러스 표면에 부착된 ‘뉴라미데이스 (neuramidase)’라는 단백질 가위를 이용해 숙주세포의 막에 달린 시알산 (sialic acid) 잔기를 잘라내며 밖으로 유유히 탈출한다.물론 숙주세포도 당하고만 있지는 않는다. 숙주세포는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활동하는 동시에, 일부는 항원 조각을 먹은 뒤 항원의 특징을 담은 단백질을 세포 표면에 발현하고 성숙시킨 뒤 림프절로 이동한다. 림프구에 알려 면역반응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다. 림프절로 이동한 수지상세포는 먼저 T림프구를 불러내 면역반응을 일으키고, T림프구와 B림프구에게 항원 ...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발표 덕분에 면역특이성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에를리히는 결핵균의 표면을 염색해 결핵을 진단하는 방법도 고안해냈다. 이 진단법은 지금도 쓰이고 있다. 또 다른 수상자인 러시아 출신의 메치니코프는 동물학자였다. 1882년 불가사리를 연구 중이던 그는 불가사리 유충에 가시를 찔러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항원이 들어왔을 때 체내에 만들어지는 항체는 한 종류가 아니다. 항원 표면에는 여러 개의 항원 결정 부위가 있어서 각각에 맞는 다양한 항체가 생긴다. 또 항원 결정 부위가 하나뿐인 항원도 여러 가지의 항체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하나의 항원 결정 부위에 친화력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항체가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적외선, 상피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껍질, 가죽, 표면’을 뜻하는 한자 ‘피(皮)’를 합쳐 만든 단어지요. 이름처럼 위쪽 표면에 위치하며, 주로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물론 상피세포는 우리 몸 어디에 위치하냐에 따라서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요. 코 점막에 있는 후각상피세포는 냄새 분자와 만나 후각 신호를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