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뒤안길로 사라진다. 이제 더 이상 물리학자들은 원자핵의 주위를 도는 전자의 궤도를 생각하지 않는다. 정상상태에 있는 전자는 공간의 여기저기에 존재할 수 있으며, 양자역학은 특정 위치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만을 제공한다. 그래서 양자역학을 이용해 그린 원자그림을 보면, 전자가 원자핵 ... ...
- 초파리 ‘입맛’ 까다롭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냉면국물, 차가운 부대찌개. 생각만 해도 느끼하다. 생각만으로도 이상한 느낌을 갖는 것은 음식마다 입맛에 맞는 온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람뿐만 아니라 곤충들도 입맛에 맞는 온도를 찾아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폴 개리티 미국 브랜다이스대 교수팀은 초파리의 신경세포에서 새로운 ... ...
- “과학문화는 SF작가에게는 인프라”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있어요. 오히려 과학문화는 SF작가에게는 인프라 같아요. 과학동아를 보면서 자주 하는 생각이, 독자가 과학적인 내용을 잘 알아들으면 SF쓰기가 편할 것 같다는 거예요. 예를 들면, 우주에 떠 있는 원통형 콜로니가 회전하면 바깥쪽으로 인공 중력을 만들 수 있다는 걸 설명해줘도 이해를 잘 못하는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고래는 생각보다 시력이 좋다과학자들은 오랫동안 고래가 눈으로 거의 보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예를들어, 귀신고래의 몸길이는 건물 5층 높이인데 눈은 당구공만큼 작아서 눈이 퇴화되는 증거라고 말하는 과학자도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사람의 눈보다 훨씬 크고 최근의 연구 결과도 고래가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쥔 미래의 인류는 뇌의 시각 또는 청각 영역의 지형을 바꿀 수도 있게 됐다. 5. 동작 : 생각하는 대로 움직인다 뇌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역할만 하지 않는다. 몸을 움직여 특정 동작을 하는 것도 뇌와 신경의 작용이다. 뇌지도는 이 과정에 대한 신비를 풀고, 동작을 인공적으로 제어하는 데에도 ... ...
- 불행해? 페이스북부터 끊어봐~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친구의 친구가 쓴 “사진 멋져요!”라는 글귀가 보인다. 잠시 스스로 멋진 사람이 됐다는 생각과 함께 만족감이 몰려온다. 스마트폰을 다시 가방에 넣는다. 그리고 문득 깨닫는다. 스마트폰을 꺼내고 댓글을 확인하고 다시 넣을 때까지, 나는 한 번도 웃지 않았다.스마트폰과 ‘페이스북’, ... ...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긴 장주기혜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먼 궤도를 도는 어떤 무리에서 나왔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1950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오르트는 오피크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해 대략 2만AU의 원일점을 가진 대부분의 장주기혜성들이 태양계 바깥 어딘가에 공 모양으로 모여 있을 것이라는 오르트 구름 ... ...
- [life & Tech] 착한야식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생각한다면 야식이 두려워집니다. 하지만 올빼미처럼 밤에 노는 전 야식을 포기할 생각하니 벌써부터 기운이 빠집니다. 이 기사를 마무리할 수 있을지조차 장담 못하겠어요. 눈앞의 즐거움이냐, 먹은 뒤 후회냐. 그 사이에서 계속 갈등하게 됩니다.그래도 한 가지 위안은 됩니다. ‘야식’이라고 ... ...
- 마취 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런 파티에 참석했던 몇몇 의사들이 이 가스를 수술 통증을 제거하는 데 적용해볼 생각을 하게 됐다. 지금 역사는 1846년 10월 16일을 전신마취 하에서 최초의 무통 수술을 한 날로 기록하고 있다. 이날 치과의 사 윌리엄 모턴은 애보트라는 환자에게 에테르를 마시게 했고, 외과의사 존 워런은 이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비교적 최근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뇌는 특정 영역이 특정 기능을 도맡아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실제로는 뇌의 일부가 망가져도 다른 영역이 그 일을 대체하곤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뇌 가소성’이라는 성질이다. 이종민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교수는 “뇌에 중추적인 ... ...
이전5555565575585595605615625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