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원의 물고기, 사람만 보면 몰려드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20분씩 3일 동안 반복했다. 이어 12일 동안은 다른 수족관으로 옮겨 휴식기를 가졌다. 그런 뒤 다시 원래 수족관에 풀어 놓고 움직임을 관찰했다. 실험결과 금붕어들은 12일 전에 먹이를 주던 장소를 유독 반복해서 찾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실험을 이끈 트레버 해밀턴 박사는 “먹이가 있는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있는 곳이었다. 김 박사는 귀국 후 퀀텀랩에 들어왔고, 그 때의 경험을 살려 세계 수준에 뒤지지 않는 이온트랩 양자컴퓨터를 만들기 시작했다. 조동일 서울대 교수팀과 멤스 기술을 이용해 이온트랩 칩을 개발했고, 여러 개의 이온을 포획하고 그 모습을 시연하는 데 성공했다.현재 이 분야의 최고 ...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정체불명의 느낌은 무엇일까. 기존에 마트에서 판매하는 아이스크림은 공장에서 만든 뒤 도매점 냉장고를 거쳐, 소매점에 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아이스크림은 유제품인 만큼 아무리 냉장처리를 잘 해도 처음처럼 신선하지는 않는다. 목장에서 갓 짜낸 우유(그렇다고 이걸 바로 먹는 것은 ...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것에 비해 증거가 될 만한 자료가 없어 안타깝기만 하오. 내 기억은 희미하고, 문헌을 뒤져 이 사실을 밝혀내는 데도 어려움이 있으니 과학적 실험과 연구를 통해 밝혀낼 수밖에 없을 것 같소. 그리하여 내 친구들에게 부탁을 하려하오. 부디 훌륭한 과학자가 되어 거북선이 ...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참석하지 못했던 비운의 수학자 그리고리 마르굴리스는 미국 대학으로 자리를 옮긴 뒤 오희 교수를 지도했다.한편 러시아 출신 필즈상 수상자 막심 콘체비치의 아버지인 레프 콘체비치는 러시아 최고의 한국어 권위자다. 막심 콘체비치는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로부터 한글이 얼마나 과학적인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이때도 녹색 괴물로 변한 강렬한 헐크가 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후 2년 뒤인 2010년에는 로 두 번째 아이언맨을 선보이더니, 이듬해인 2011년에는 북유럽 신화 속 주인공인 토르를 주인공으로 한 과, 첫 번째 캡틴 아메리카인 를 개봉했다.그러다가 ... ...
- Part 1. 전격 분석! 필즈상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만든 사람은 캐나다의 수학자 존 찰스 필즈다. 그는 캐나다와 미국에서 수학을 공부한 뒤, 유럽으로 건너가 미타그 레플러와 같은 당대 유명한 수학자들과 교류했다.필즈는 이렇게 유럽에서 저명한 수학자들과 친분을 쌓으며 수학자들과의 교류가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된다. 이에 유럽에서 다시 ...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쉽게 말해 뾰족하게 튀어나온 부분을 말해요.대수다양체를 연구하면서 1970년대에 제기된 뒤 그때까지 풀리지 않았던 ‘로타의 추측’도 증명할 수 있었어요. 로타의 추측이란 미국 수학자 지안-카를로 로타가 제안한 것으로, 모든 그래프의 특성다항식들이 어떤 보편적인 부등식을 만족한다는 ...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1/2의 확률로 나오는 걸까?이건 말도 안 된다. 지구에서 파란 알약이 나왔는데 4년 뒤에 알파 센타우리의 결과가 파란 색이라면 우주가 모순을 일으키는 셈 아닌가? 양자역학적 상호관계는 빛의 속도보다 빨리 전달되는 것처럼 보인다.이를 다른 말로 ‘관계가 비(非)국소적’이라고 한다.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조절해 직진이나 회전을 하는 데, 만약 옆으로 가고 싶으면 먼저 제자리에서 회전을 한 뒤 직진해야 한다. 수상 로봇은 물 위에서 아무리 추 력을 내도 제자리에서 급격히 회전하기가 어렵기 때문 에 회전 반경을 고려해 알고리듬을 짜야 한다. 1990년 대 중반부터 로봇공학자들은 이런 물리적 한계를 ... ...
이전5495505515525535545555565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