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꿀벌 VS 말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애벌레를 말벌이 훔치러 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면 꿀벌은 무리지어 말벌을 둘러싼
뒤
근육을 움직여 온도를 높이거나 이산화탄소를 내뿜어 말벌이 질식하게 만드는 등 꿀벌만의 방어를 한답니다. + 말벌 집을 발견하면?산에서 밤, 도토리를 줍다가 말벌집을 건드리는 경우가 많아요. 이 때 말벌을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수 있었다. 로렝대 연구팀은 지구와 테이아의 충돌이 태양계가 만들어진 지 4000만 년
뒤
쯤 일어났다고 추정했다. 달의 나이가 기존의 학설보다 6000만 년이나 많아진 것이다.Q2. 달은 둥근 모양일까?최근 미국 MIT 지구물리학과의 마리아 주버 교수는 달이 구 모양이 아닌, 가운데가 불룩하고 양 끝으로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올라오는 수많은 글을 분석해서 감정 상태의 변동이 주식 시장에 주는 영향을 파악한
뒤
, 그 결과를 바탕으로 투자 알고리즘을 만든 것이다. 현재까지 실험적인 투자 결과는 상당히 높은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이처럼 실생활에 유용한 감정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감정 어휘를 세부적으로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언제 적 기사인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1933년 기사였습니다. 에디슨이 죽고 2년이 지난
뒤
에 나온 기사입니다. ‘이제는 말할수 있다’ 류의 기사인데, 이야기의 출처가 나와 있지 않습니다. “가까운 지인 몇 명만 알고 있었던 터라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면서 정작 자기들은 어디서 들었는지 말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먼저 쥐를 바이러스에 감염시킨다. 쥐에게서 얻은 항체유전자를 박테리아에 넣은
뒤
담배세포 속으로 집어넣는다. 에볼라 항체를 생산한 담뱃잎을 갈아서 항체를 추출하면 끝이다(자세한 과정은 81쪽 참조). 지맵은 이런 방법으로 생산한 3가지 서로 다른 항체를 섞었다. 1개는 에볼라에 감염된 ...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것들을 바로 공급받기 어렵고, 화물의 양도 한정돼 있다. 즉 ISS에 3D 프린터를 설치한
뒤
우주선에 분말재료를 싣고 가는 게 더 경제적일 수 있다. 지난해 8월 NASA는 3D 프린터로 직접 부품을 만들어 15년 된 ISS를 보수하는 장면을 유튜브에 공개했다.6월 12일 공식 발표에 따르면, 메이드인스페이스의 ... ...
[과학뉴스] 행복 예측 방정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게임이 끝날 때마다 그 결과를 놓고 스스로 느끼는 행복감(만족도)을 조사했다. 그
뒤
두 설문값 사이의 차이를 이용해 행복도를 예측하는 방정식을 만들었다. 이에 따르면, 기대치와 만족도 사이의 차이가 작을수록 사람들은 행복감을 쉽게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연구팀은 이 방정식이 잘 맞는지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관찰하기 위해 학자들은 수 년에 걸쳐 단백질 결정을 만들어 단백질을 단단하게 고정한
뒤
에야 X선 촬영을 할 수 있었다. 펄스폭이 작은 레이저-플라스마 가속기는 이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단백질 구조를 순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레이저-플라스마를 사용해 양성자를 가속해 암 부위에 ... ...
만화책에 목소리를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가진 사람들에게 “지금 당장 도전하라”고 조언했다.“모든 것을 안전하게 준비한
뒤
출발하려고 하면 이미 경쟁자들은 저 멀리 앞서 나가 있습니다. 뭔가 부족해도 일단 뛰어나가십시오. 창조경제타운은 그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도록 수많은 멘토 집단이 쉼 없이 도와줍니다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좋은 고생물학 연구자들은 답사를 통해 화석이 많이 나올 지역을 고른
뒤
그곳을 샅샅이
뒤
진다. 이 과정에는 아마추어 발굴팀의 활약도 큰 도움이 된다. 실제로 몇 년 전에는 일본 아마추어 팀에서 중요한 공룡 알 화석을 처음 발굴하기도 했다. “언덕을 기어올라 고개를 드니 바로 아래에 둥근 ... ...
이전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