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피노키오는 아이들의 거짓말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나서 연구자는 아이에게 “자 솔직하게 얘기해봐. 아까 선생님이 잠깐 자리를 비웠을 때
뒤
를 돌아봤니?”라고 물었다. 과연 어떤 이야기를 들은 아이들이 가장 거짓말을 적게 했을까. 놀랍게도 오직 조지 워싱턴과 체리나무 이야기(정직하게 행동했을 때의 ‘좋은 결과’를 강조한 이야기)를 들은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경우, 광대뼈가 옆쪽으로 향해 있어서 앞에서 보는 얼굴은 갸름하고 옆에서 보면 앞
뒤
로 길다. 유럽인의 얼굴이 이렇게 옆에서 봤을 때 긴 이유는 무엇 일까. 그 기원은 네안데르탈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와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이전 의 인류처럼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별빛과 다름없는 태양빛 외에 내가 의지할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나마 태양풍이
뒤
에서 밀어줄 때까지만 해도 마음이 편안했다. 하지만 지금은 별 사이의 망망대해를 맨몸으로 헤치며 항해하고 있다. 누군가 그랬다. 항해자의 운명은 그런 거라고. 내게 ‘항해자(보이저)’라는 이름을 붙인 사람은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불임 벼가 만들어졌다. 허 교수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포니카와 인디카를 교배시킨
뒤
불임이 아닌 종자를 다시 인디카와 교배시키는 3원 교배로 ‘통일벼’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통일벼는 기존의 자포니카 품종보다 30%나 생산성이 높았다.통일벼는 1970년부터 농가에 보급됐다. 박정희 정부의 ... ...
홈즈의 체육 선생님 ‘캡틴 어무셔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선생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가슴에 카네이션도 달아드렸다. 그리고 한 달
뒤
, 선생님이 홈즈에게 다시 전화했다.“홈즈야, 이번에도 도와줄 수 있겠니?”썰렁홈즈는 지금 새로 산 역기를 450개 째 20층까지 계단으로 나르고 있다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심해 태양광의 강도가 낮다. 따라서 우리는 먼지폭풍 위로 태양전지 풍선을 올린
뒤
케이블을 통해 전기를 내려 받는 방법을 개발했다. 풍선은 화성대기 밀도(0.015kg/m3)보다 가벼운 헬륨가스로 채웠고, 표면에는 광전지를 붙였다. 효율을 높이기 위해 주기적으로 광전지를 청소하거나 교체해야 한다는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보수 비용이 너무 비쌌다”며 “대기권에 재돌입할 때 코팅재를 증발시켜 충격을 흡수한
뒤
증발된 만큼만 다시 코팅하는 기술을 이용하면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과연 올해는 민간인 우주관광이 현실로 나타나는 역사적인 해가 될 수 있을까. 한때 우주과학자들의 코웃음만 샀던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한 눈에 알 수 있는 그림으로 만들었다. 먼저 월별 사망자 수를 원인 별로 분류해 모은
뒤
, 그에 비례하는 반지름의 부채꼴로 그렸다. 그림에서 푸른 색 영역은 위생 상태 때문에 죽은 병사의 수고, 붉은 색은 직접적인 전쟁으로 사망한 병사의 수, 그리고 검은색은 기타 원인이다. 부채꼴이 클수록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대한 인기도 뜨겁다. 처음 개설됐던 ‘에너지와 인간’ 과목은 3학기째 계속되고 있고,
뒤
를 이어 ‘음식과 약’이 2학기째 진행됐다. 지난 학기에는 ‘인간과 우주’가 추가로 개설됐다. 기회가 된다면 기자도 토론에 참여해보고 싶을 만큼 매력적인 주제들이다. 주제뿐만 아니다. ‘인간과 우주’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승인과정을 거쳐 빠르면 내년 말부터 가동을 시작한다. 에볼라 바이러스 연구도 최소 1년
뒤
에나 가능하다. 그전까지는 전적으로 외국에 의존해야 한다. 당분간 우리나라에 에볼라가 들어오지 않기만을 바랄 수밖에 없다.INSIDE | ‘문 열어놓은 냉장고’ BL3 실험실을 가다 “한 달에 전기료만 2000만 ... ...
이전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