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K-Pop 스타도 깜짝 놀란 홀로그램 콘서트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설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무대 설치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하지만 무대
뒤
에서 프로젝터가 쏘는 빛을 관객이 직접 볼 수 있기 때문에 현실감이 떨어지는 게 단점이다.플로팅 홀로그램이 만들어지는 과정① 무대 천정에 달린 프로젝터에서 바닥을 향해 미리 녹화한 영상을 비춘다.② 무대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찾아낸다. 이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두 신호 정보를 각각 ‘공분산행렬’로 만든
뒤
, 두 행렬 간의 관계를 ‘고유치 문제’로 풀어 다른 특성을 찾아내는 것이다. 공분산행렬이란, 머리에 부착한 여러 개 센서 간의 상관관계를 행렬로 나타낸 것이다.구체적으로 오른손을 움직이는 상상을 ... ...
게임으로 알아보는 컴퓨터의 역사! 넥슨컴퓨터박물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예를 들어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기록물이 있다고 해 봐요. 그런데 수십 년
뒤
에는 한글 프로그램이 사라질 수도 있잖아요. 그래서 기록물뿐만 아니라 한글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인 윈도우도 함께 보존해야 해요.정승혜 : 일반적으로 수집은 어떻게 하나요? 그리고 가장 구하기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위에 양극재료인 ‘리튬코발트산화물’을 얇게 층층이 쌓아 올려 700℃로 열처리했다. 그
뒤
운모 기판을 떼어내자 남은 물질은 유연하면서도 전지 역할을 할 수 있게 됐다. 이를 고분자로 다시 감싸 머리카락 10분의 1 두께의 얇고도 유연한 배터리를 만들 수 있었다. 이 교수는 “이 연구로 휘어지는 ... ...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어떻게 될까요? 안타깝게도 모두 도살 후 소각됩니다. 불쌍하다고 바이러스 실험을 한
뒤
실험동물을 살려뒀다가는 어디로 바이러스를 퍼뜨릴지 모르잖아요? 유전자를 조작한 쥐라면 외부로 탈출했다가 야생쥐와 교배해 생태계에 해로운 유전자를 퍼뜨릴 수도 있으니까요. 2001년에 경기도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참 좋을 때입니다. 지금 세계적으로 차세대 망원경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어요. 10년
뒤
면 천문학 연구가 폭발할 겁니다. 과거 100년 동안 했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연구를 하게 될 거예요. 정말 기대되지 않나요 ... ...
가면을 쓰는 비용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인터뷰 도중 자신의 ‘성적 지향(sexual orientation)’을 숨기도록 요구했다. 인터뷰가 끝난
뒤
에는 간단한 공간지각력 테스트를 했다. 그 결과 단 10분 정도였지만 자신에 대한 정보를 숨긴 사람이 숨기지 않은 사람보다 공간지각능력이 떨어졌다(정답을 맞춘 비율 57% vs. 47%). 이후 연구자들은 여러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패널과 패널 사이의 ‘홈’이 분리점을
뒤
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역류가 적은 B의 경우,
뒤
에서 공을 잡아당기는 힘(항력)이 작아 공을 더 빠르고 멀리 날려보낼 수 있다.INSIDE | 공 때문에 졌다? 기자는 고등학교 때 기숙사 방별로 한 팀이 되어 맞붙는 축구 리그에 참여하곤 했다(한 방에 12명씩 1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돌을 만났을 때 휘돌아 흘러가는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 눈에는 물체
뒤
쪽에서 출발한 빛만 보이기 때문에 마치 물체가 사라진 것처럼 뒷배경만 보인다. “투명망토 만들고 싶다” “정신 나간 게 틀림없군” 이런 방식으로 빛을 굴절시키는 물질은 자연에 없다. 다시 말해, 음(-)의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해당하는 물질에 달라 붙어 형광 빛을 낸다.우리는 토양 코어를 깊이에 따라 5cm씩 자른
뒤
각각 0.5g 정도의 토양을 채취해 솔리드 장비에 넣었다. 토양 시료는 버퍼 용액 안에서 초음파에 의해 잘게 부숴질 것이다. 토양 안에 만약 생체 분자가 있다면, 이 분자는 마이크로칩에 붙어 있는 항체와 ... ...
이전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