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방세포 살빼기로 비만 탈출! 어린이 다이어트 백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다이어트’에 대해 관심이 많아 함께 취재하고 싶다고 응모한 독자입니다. 친구들이 생각하는 예쁜 몸매는 어떤 것인가요? 어른처럼 늘씬한 키에 잘록한 허리, 갸름하다 못해 뾰족한 턱, 군살 하나 없이 기다란 다리… 인가요? 그런데 최근 몇 년간 어린이 비만이 꾸준히 늘고 있어요. 또 다이어트를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포텐셜 함수와 라플라스 상수를 도입했다. 라플라스는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최초로 생각한 수학자이기도 하다.수학적 논문을 쓰는 천문학 교수 뫼비우스,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1790~1868)뫼비우스는 뛰어난 업적을 남긴 수학자이자 정역학, 천체역학 등에 대해 다양한 수학적 논문을 쓴 천문학 ... ...
- [Knowledge] 독수리 먹이는 몇 종류일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않은 경우는 0으로 하는 먹이그물 행렬 A를 만들어보자. 독수리(1), 뱀(2), 쥐 (3)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독수리(1)가 뱀(2)과 쥐(3)를 잡아먹기 때문에 1행 2열과 1행 3열은 모 두 1이 된다. 뱀(2)은 쥐(3)를 먹기 때문에 2행 3열이 1이 된다. 반면, 쥐(3)는 독수리(1)나 뱀(2)을 먹지 않기 때문에 3행 1열과 3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발표했다. 폐로 숨을 쉬는 자라가 자꾸 머리를 웅덩이에 담그는 모습을 보고 의아하게 생각하다 시작한 연구였다.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노폐물은 요소가 많다. 그런데 연구팀은 자라의 신장을 통해 걸러지는 요소가 전체의 6%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자라가 머리를 담그고 있던 웅덩이의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없습니다. 하지만 원리는 간단합니다. 우주공간으로 무언가를 분사하면 됩니다. 풍선을 생각해 볼까요? 공기를 넣어 부풀린 풍선의 입구를 열어봅시다. 풍선을 꽉 잡고 있으면 공기만 반대로 빠져나오지만, 풍선을 놓으면 이번엔 풍선이 튀어 나갑니다. 영화 속에서 스톤 박사가 소화기를 이용해 ...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중성자가 다시 산산이 분해되는 것을 보며 수학자들도 어쩌면 자극을 받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양자역학을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데 필요한 복소수 영역까지 수 체계를 확장하다보면 소수도 다시 쪼개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어요.”김 교수는 “소수가 지닌 매력의 상당 부분은 그 구조의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될 것 같았던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의 덫’에 갇힌 이유가 국제 감각의 부재라고 생각한다. 자원도, 인구도 부족한 조그마한 도시 국가 싱가포르가 잘 사는 나라가 된 것도 오래 전부터 여러 인종들이 다양한 문화를 공유하는 풍토가 조성돼 있었기 때문이다.”중국, 인도 등 주요 신흥국의 ... ...
- [life & Tech] 공감 길러주는 책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백설공주의 입장에서 상황을 인식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은 인지적 공감 발달의 첫 과정이다.동화를 읽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 인지적 공감 발달에 훨씬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만 4세 어린이의 인지적 공감 발달연구에 참여한 이순복 위덕대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때로 돌아간다면 ‘내 꿈이 무엇인지’ ‘적성이 맞는 분야가 어딘지’ 등을 진지하게 생각해 볼 것입니다.” 그는 진로에 고민을 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막연히 성적 올리는 공부만 하지 말고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같이 고민해보라고 조언했다. 목표 없이 성적이 나오면 점수에 맞춰 진학하고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대한 고민이 깊어졌다. 비판적인 사고를 상실한 사회는 발전하지 못하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잘못 하다가는 우리나라가 매우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는 가장 큰 착각은 우리가 상당히 발전했다는 것입니다. 한 나라가 어려워지는 건 순식간의 일인데 가장 빠른 지름길은 ... ...
이전5465475485495505515525535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