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d라이브러리
"
바닷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바닷물
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다) 아무리 깨끗한
바닷물
이라도 완전히 투명할 수는 없다.
바닷물
의 표층 중에서도 빛이 들어오는 얇은 층을 유광층이라 부른다. 맑은 열대의 바다에서는 유광층이 200m에 이르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유광층은 수심 100m까지다. 광합성을 하는 해양 식물은 모두 이 얇고 따뜻한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혐기성박테리아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그는 염기가 있는 연못의 진흙을
바닷물
과 섞은 후 고성능 현미경으로 관찰하다가 박테리아가 어떤 물방울에서나 북쪽으로만 헤엄치는 현상을 발견했다.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영구자석을 물방울 근처에 가져가 보면 한쪽 극에 대해서는 반응이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라 불린다. 먼지가 수천km까지 날아 태평양을 건너다니!먼지가 태평양을 건너며 바라본
바닷물
의 흐름(해류)은 어떨까. 세계 해류 분포는 대기 대순환에 따라 부는 바람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데, 이는 해류가 주로 바람에 의해 형성된다는 뜻이다. 중위도 해역에는 편서풍에 의해 북태평양 해류가 ... ...
[지구과학]해수의 이동과 엘니뇨현상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 숙련된 어부들은 수년에 한 번씩 적도 부근에서 흘러온 따뜻한
바닷물
이 해안을 휩쓸고 지나간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이 해류가 나타나면 열대 동태평양 연안은 몇 달 동안 수온이 높고 찬물의 용승이 일어나지 않아 어획량이 크게 준다. 대개 크리스마스를 전후해 이런 ... ...
심해저 깊은 맛 해양심층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시작한다.경동대 해양심층수학과 어재선 교수는 “북대서양의 그린란드에서 침강한
바닷물
은 대서양 서쪽을 타고 남극 주변으로 이동한 뒤 태평양을 거쳐 인도양으로 움직이는데, 이 과정은 2000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그런데 우리나라와 일본이 동해에서 개발 중인 ... ...
[물리학]레이저 쏴 인공태양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줄어들 때 나오는 에너지가 석유 8000t과 맞먹는다. 게다가 연료로 쓰이는 중수소는
바닷물
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유가 시대를 헤쳐 갈 차세대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하지만 이런 방식의 핵융합 반응은 아직 개발 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발전소에서 실제 활용되기까진 시간이 걸릴 것으로 ... ...
다이옥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오염량이 늘어난다. 서 박사는 “공업지역에서 만들어진 다이옥신이 물 분자에 달라붙어
바닷물
로 전파되다가 먹이사슬을 거쳐 북극곰에서 검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다이옥신은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로 분류됐고, 2001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국제적으로 협력해 ... ...
[지구과학]우주에 작용하는 힘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만유인력은 작고 원심력은 같으므로 합력이 달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때에는
바닷물
이 달과 반대 방향으로 부풀어 오른다. 이 결과 하루에 두 번 만조가 나타난다. 조석 주기가 12시간이 아닌 12시간 25분인 이유는 지구가 자전하는 동안 달이 공전하기 때문이다. 지구가 한 번 자전하는 동안 ... ...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모래와 진흙 바닥에 알을 낳는다. 암컷 한 마리가 25만~100만 개의 알을 낳으며, 알은
바닷물
에 떠다니다 9~28일이 지난 뒤에 부화한다. 부화한 새끼는 7cm 크기로 자랄 때까지 산란장 부근에 머물다가 여름이 되면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태어난 지 3~4년이 지나 몸길이가 30cm에 이르면 어미가 되고, 8~9년 ... ...
바하마 제도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적색 맹그로브 나무가 많이 자라는데, 뿌리가 크고 서로 얽혀 있었다. 맹그로브는
바닷물
속의 소금을 뿌리에서 걸러 물만 흡수하고, 뿌리에서 직접 산소를 흡수하기도 한다.11월 25일. 화요일산호와 맹그로브 나무의 생태를 탐사하러 북쪽에 있는 샌드케이 섬으로 출발했다. 그런데 섬을 찾아가는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