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d라이브러리
"
바닷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큰 천체들은 강력한 중력을 발휘해요. 지구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달이 지구의
바닷물
을 움직여 밀물과 썰물을 만드는 것도 달의 중력이 강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지요. 이렇게 중력은 천체 사이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기 때문에 중력이 없다면 우주는 엉망진창이 될 거예요.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빙하기가 끝나고 그 뒤부터 지구는 다시 따뜻하고 안정된 환경이 된다. 따뜻해진 지구는
바닷물
의 수면이 올라가고, 다양한 식물들이 군락을 이루면서 생물의 종 다양성이 아주 높아질 전망이다. 이 가운데 육지로 올라온 수중동물이 식물이 번성하는 습지에 살면서 점차 대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 ...
동전 크기만 한 담수화 장치 개발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발생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번 프로젝트를 이끈 김성재 박사는 “기술을
바닷물
에서 적용하면 짧은 시간에 짠맛을 내는 이온을 분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ICP기술은 짠맛 외에도 물을 오염시키는 박테리아나 특정 물질을 없애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소형 장치 수백 개를 묶고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건축법중 하나다. 땅과 바다의 열로 난방을!벤쿠버 동계올림픽의 미디어 센터는
바닷물
의 온도를 이용해 냉난방을 하고 있다. 여기에 쓰인 것은 히트펌프! 히트펌프는 온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열을 이동시켜 주는 장치이다. 특히 겨울철에는 온도가 낮은 건물의 밖에서 열을 뽑아 실내로 ... ...
2mm 속에서 질병·가짜 찾아낸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설명했다.OCT는 진주의 품질을 구분하는 데도 사용된다. 조개에 진주의 핵을 심어서
바닷물
에서 키운 해수진주는 모양이 완벽한 구에 가까운 반면, 핵이 없이 저수지나 호수에서 키운 담수진주는 못생긴 짱구모양이 많다. 그런데 일부 양식업자들은 담수진주를 해수진주로 둔갑시키기도 하고 하급의 ... ...
거대한 소용돌이가 전하는 공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조류)의 이동 속도가 빠르고 암초가 많은 해협에서 볼 수 있다. 대체로 소용돌이는
바닷물
이 좁은 곳에서 넓은 곳으로, 수심이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이동할 때 나타난다.조류와 암초의 상호작용으로 발생시칠리아 섬과 이탈리아 반도 사이의 메시나 해협에 나타나는 소용돌이는 ... ...
태풍에서 기상예보까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진행 방향의 오른쪽에 더 많은 비바람을 일으켜요. 많은 비를 뿌린 태풍은 북쪽의 차가운
바닷물
을 지나면서 힘이 약해지기 마련입니다. 따뜻한 바다에서 많은 양의 수분을 증발시켜 에너지를 얻는 태풍이 에너지 공급원을 점차 잃어버리기 때문이에요.태풍을 예측할 때 가장 힘을 모으는 부분은 ... ...
수학이라면 지진도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일어나는 해일을 말하는데 쓰나미라고도 한다. 해일은 해수면의 높이가 갑자기 높아져
바닷물
이 땅으로 올라오는 현상이다.진원지진이 일어나는 원인인 에너지가 처음으로 발생한 지점이다.진앙진원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지표면의 지점을 뜻한다.지진의 규모지진파 에너지의 크기를 말한다. 보통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걸쳐 일어나는 기후 현상으로 보기에는 이르다.*해류의 순환은 해수면에서 약 1000m까지의
바닷물
이 이동하는 표층순환과, 그 아래의 깊은 바다를 흐르고 있는 심층순환으로 나뉜다.2 지구의 자연 주기이다?최근의 한파는 지구가 자연적으로 기온이 내려가는 시기이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전해주는 지구 최대의 ‘난방 보일러’이다. 그린란드에 도착한 멕시코만류는 그곳의 찬
바닷물
을 만나 밀도가 높아져 심해로 가라앉고 다시 남쪽으로 돌아간다. 그런데 북극이 더워져 빙하가 녹기 시작하자 북대서양의 염분이 줄어 예전만큼 밀도가 높아지지 않았다. 가라앉아야 하는 한쪽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