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육"(으)로 총 4,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폴리매스 정보통! 모두가 푹 빠진 폴리매스미궁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사람은 7명뿐이야(2021년 1월 18일 기준). 마지막 5문제는 최수영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장님과 신희성 인하대학교 수학과 교수님께서 출제한 문제거든. 교수님들도 문제를 내면서 친구들이 ‘과연 이 문제를 다 풀 수 있을까?’ 하고 고민했다지만 괜한 고민이었어. 공개한 지 4시간 29분 만에 모든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period)’ 문화가 있다. 이 기간 동안 신임 교수는 실적에 얽매이지 않고 깊이 있는 연구와 교육을 할 수 있다.이런 학풍 속에서 강 교수는 새로운 고분자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고분자는 작은 분자 여러 개를 결합한 형태다. 작은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면 고분자의 ... ...
- [게임 디자인 씽킹] 컴퓨터와 대결하는 규칙을 설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번 호에서는 게임 프로그래밍을 배울 때 가장 처음 만들어 보는 게임인 ‘퐁(Pong)’으로 좌표를 이용해 물체의 위치와 움직임을 설계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퐁은 1972년 미국 게임 개발사인 ‘아타리’에서 출시한 게임입니다. 탁구를 소재로 한 이 게임은 두 명이서 탁구채를 대신하는 직사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공동 진행하는 ‘탄소중립 프로젝트’ 서포터즈를 모집한다. 박영경 기자: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과 진행하는 ‘궁극의 질문’ 풀이를 모집 중이다.김소연 기자: 윌라 과학동아 오디오북을 출시했다.편: 12쪽 또는 사이언스 보드를 보면 되나.일동: 그렇다. 근데 이거 현실인가? 우린 편집장과 이런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열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KAIST에 신설된 ‘융합인재학부’를 통해 올해부터 새로운 교육 실험을 시작할 계획이다. 희망에만 머물지 않고자 도전한 새 시도를, 다시 50년 뒤 사람들은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하다 ... ...
- [수콤달콤연구소] 올리고! 내리고!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 놀이북4쪽과 함께 보세요! 자연수와 소수, 시간을 덧셈·뺄셈을 할 때 필요한 받아올림과 받아내림! 수콤이와 달콤이가 헷갈리지 않고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을 잘하는 비법을 개발했습니다. [받아올림] 덧셈을 할 때는 일의 자리에 있는 수부터 시작해서 십의 자리, 백의 자리 순서로 더해 나가면 ... ...
- 영재교육 전문가도 깜짝 놀란 ‘궁극의 질문’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합니다.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이 뽑은 궁극의 질문 과학1 플라스틱을 효율적인 에너지로 바꿀 수 없을까?선정 이유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를 재활용하려는 노력의 의지가 담긴 중요한 질문입니다. 또 ... ...
- 탐험은 계속된다! 2020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키네틱아트, 자율주행, 생태, 공룡)에 참가한 학생 50여 명이 탐험에 성공했다. 또한, 인천교육청 내 학교 동아리 ‘스쿨 프로젝트’와 국립생태원의 ‘연구기관 프로젝트’도 탐험대학에 참여해 탐험대원 80여 명을 배출했다 ... ...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10만 명을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6만 명의 기존 현장 인력을 대상으로 직무 전환 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대학과 연계해 4400명의 전문인력을 배출하는 것이 1차 목표다. 그 시작점이 스마트공장 전환에 최적화된 창원이다. 1970년대에 구축된 중화학공업 산업단지인 창원국가산업단지는 전 세계 ... ...
- '궁극의 질문'을 함께 풀어봐요!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모집단을 설정해 통계적 확률의 극한을 생각해 보는 방법이 있을 것 같다.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과학동아 ‘궁극의 질문’ 선정 이유 이 문제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어떻게 계산할까? 계산할 수 없다면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수학적으로 타당할까? 이렇게 다양한 의문을 가지다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