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이끼 하나가 한 시간에 생산할 수 있는 산소량은 3.25×10$^{-10}$kg 정도다. 따라서 화성을 뒤덮은 이끼밭이 만들어 내는 산소는 시간당 4.78×10$^{8}$kg 남짓이다. 이 값으로 필요한 산소량을 나눠 주면, 5억 6500만 시간이 나온다. 지구의 시간으로 약 6만 4500년이다. 단군이 나라를 세운 다음 흐른 시간보다 ... ...
- [과학뉴스] 먼지 같은 존재? 우주먼지는 아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은하의 빛을 지구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 것. 왓슨 교수는 “관측한 은하는 빅뱅 후 7억 년 뒤에 만들어진 초기 은하”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3월 2일자에 실렸다 ...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그 해 서울에는 공식적으로 벚꽃이 피지 않은 셈이다). 여의도 벚꽃 군락지는 국회의사당 뒤에 있는, 영등포 구청 관리번호 118, 119, 120번 나무가 표준 나무다. 기상청은 이들 표준 나무가 과거 꽃을 피운 시기와 장기 기후자료로부터 얻은 관계식(회귀식)을 이용해, 올해 봄 꽃이 언제 고개를 내밀지 ... ...
- [Knowledge] 야생동물 천국에서 낯선 기생충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발견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2년 동안 버펄로와 표범 등의 야생동물의 귀 뒤와 분변 등에서 2900여 개의 세균샘플을 얻어 분석했다. 그 결과 다행히도 아직까지는 항생제 내성 균주가 발견되지 않았다. 신 교수는 “탄자니아에서도 가축은 항생제 내성 균주를 가지고 있다”며 “이 균주가 ...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이런 상황이 선택압이 돼 인류의 수명은 점점 더 길어졌다. 자연계에서 폐경이 끝난 뒤에도 수십 년을 더 살아가는 포유류는 오직 인간 밖에 없다. 진화가 낳은 치매 유전자치매를 유발하는 유전자도 인류가 진화 과정에서 얻은 부산물이다. 인간의 몸에는 콜레스테롤 대사와 관련된 세 종류의 ... ...
- [Hot Issue] 빅데이터로 본 봄나들이 전략 “우리 놀러가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점이다. 홍대를 검색한 사람은 자연스럽게 상수동과 연남동을 검색하고 이태원을 검색한 뒤에는 경리단길, 해방촌길, 장진우 골목 등을 찾아보게 된다는 뜻이다. SK플래닛에서 지난해 11월까지 10개월가량 소셜버즈(블로그·트위터 등 SNS 상에 언급된 말) 61만 건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골목길을 언급한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뒤어금니보다 작아지는 특징이나 ‘턱뼈가지’라고 부르는 턱뼈 부분이 마지막 어금니 뒤에 오는 것도 호모 속에 가까운 특징이다. 치아에 난 돌기는 호모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특성을 고루 보이고 있었다.혹시 둘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제3의 종일 가능성은 없을까. 당시에는 ...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대한 개설’이라는 위대한 지질도를 발간했다. 1:315,000 축척으로 매우 세밀하게 인쇄한 뒤 손으로 채색한 지도였다. 크기가 가로 세로 각각 1.8m, 2.6m로 매우 컸으며, 열악한 인쇄 기술 탓에 16장으로 나뉘어 발간됐다. 아마추어 측량사라며 스미스를 견제하고 차별했던 당시 귀족 중심의 영국 학계는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방편이 아니었을까. 아마 이번 임무를 마친 뒤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나는 다시 10년 뒤에 있을 더 먼 우주, 토성과 그 너머를 비행할 꿈을 꾸고 있을 것이다.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 영광스러운 순간이었지만, 귓가에는 지상에서 흔한 박수 소리도 환호성도 들리지 않았다. 긴장된 침묵만이 고요를 ...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안전도 보장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이에 문화재청은 2013년 가을, 진남관을 해체한 뒤 안전하게 복원하기로 결정을 내렸습니다.가끔은 꼬물거리는 문화재가 오해를 낳기도 합니다. 작년 언론 보도를 통해 문제가 됐던 첨성대가 대표적입니다. 당시 첨성대가 8개월 만에 3cm 기울었다는 보도가 ... ...
이전5165175185195205215225235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