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다루지 않나요? 양띠는 서럽습니다!”‘청양의 해’가 밝자마자 어과동 편집부가 발칵 뒤집혔어요. 주로 정치권 이슈가 올라가던 모 포털 사이트 서명 게시판에 어과동이 등장했지 뭐예요? 양띠 독자가 양띠 해에 양 기사를 실어달라는 1만 명 서명운동을 벌인 거예요. 이런 ‘대사건’ 앞에서 ...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또는 확대시키면서 빛을 받아들인다. 그러면 수정체가 빛을 모아 망막에 상하좌우가 뒤집힌 상이 맺힌다. 여기서 시각정보는 전기신호가 되어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해진다. 러시아 과학자인 알렉세이 소신스키는 3차원 사물이 망막에서 2차원으로 맺히기 때문에 우리가 고차원을 상상하기 어렵다고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스위치가 내장돼 있다. 손으로 흔들면 스위치 값이 변하면서 각 관절이 정해진 방향으로 뒤틀린다. 마치 DNA를 구성하는 4개의 염기(A, C, T, G)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조합되는 것과 같다. 4D 프린팅은 머지않은 미래에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전망이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모든 플라스틱과 금속 ... ...
- [과학뉴스] 황우석․미탈리포프, 중국과 손잡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교수는 배아줄기세포 복제를 2007년 세계 최초로 성공한 인물이다. 하지만 이틀 뒤, 미탈리포프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공동 연구는 없다”며 황 전 교수와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중국 진출 자체에 대해서는 부정하지 않았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네이처’는 미탈리포프 교수가 ... ...
- [Hot Issue] 고개 숙인 마린보이, 스테로이드의 유혹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정신자극제가 수영 선수의 기록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 도핑 목록에 뒤늦게 추가된 것을 몰랐다는 것이 사실로 드러나 심각한 처벌은 피할 수 있었다.금지약물을 금지해야 하는 이유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묻는다. 금지약물을 사용하는 선수를 잡아내기도 어렵고, 절차 또한 이렇게 ... ...
- [Life & Tech] 저 하얀 설원 위에~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품을 줄 압니다. 궁금하면 정말로 해보세요, 신세계를 경험하게 될 테니까요~! 입춘 뒤에 태어나야 양띠?산책을 끝내고 내려오는 길, 양쪽으로 늘어선 상점에는 양 인형이 가득합니다. 소년이 싱글벙글 웃으며 말합니다. “자기 양 띠지? 양 인형 사줄까?” …여자들이 가장 싫어하는 선물이 ...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기억소재 같은 새로운 재료들이 3D 프린팅에 쓰이는 추세”라며 “한번 만들어진 뒤 시간이나 환경조건에 맞게 모양이 변하는 물체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말한 기술은 바로 2013년 세상에 처음 공개된 뒤, 대중과 언론의 집중적인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2년 사이 크게 성장한 ‘4D ...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어른과 아이의 반응이 이토록 극명하게 갈린 이유는 무엇일까요. [서울 10색이 선정된 뒤 서울 택시는 꽃담황토색을 입었다.]캄캄한 밤에 물건을 본 기억을 떠올려봅시다. 어두운 밤에는 색을 감지하는 원추세포가 활성화되지 않아서 우리는 색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이때 만약 노란색 바나나를 ... ...
- [과학뉴스] 유럽인의 조상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약 15만~2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처음 태어나 약 6만 년 전 아프리카 밖으로 나간 뒤 전세계로 퍼졌다. 이 사실은 미토콘드리아 DNA 등 유전학 연구를 통해 밝혀졌는데, 정작 아프리카를 빠져나가던 시기의 초기 인류 유골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물증’을 찾는 고고학자들의 속을 태웠다. 그런데 ... ...
- [과학뉴스] 광합성 하는 달팽이를 소개합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조류의 특정 유전자를 형광으로 표지한 뒤 이 유전자가 달팽이의 세포 속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달팽이와 달팽이 먹이 사이의 게놈을 비교하면 먹이의 유전자 일부가 달팽이에게 옮겨온 흔적이 관찰된다는 보고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이를 직접 ... ...
이전5195205215225235245255265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