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활동하던 혁명가였던 그는 원래 이름이 미카우였다. 시베리아 수용소에서 탈출한 뒤 영국 런던으로 넘어가, 빌프리다스라는 가명으로 서점을 운영하며 살고 있었다. 취미 삼아 고문서를 수집하던 중 이탈리아의 한 수도원에서 이 책을 손에 넣었다! 과연 이 책에는 어떤 비밀이 들어 있을까? 그가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zyghim@kaist.ac.kr서울대 물리학과에서 ‘물리학기초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독일 막스플랑크 과학사연구소 초빙교수, 서울대 강의교수, 이화여대 HK연구교수를 거쳐,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 과학의 역사와 철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단의 방문연구원으로 ... ...
- 치아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안녕, 친구들! 아은 에게 에고의 아앙, 아어 으앵마(나는 세계 최고의 악당, 닥터 그랜마)…. 에고~, 단 걸 너무 많이 먹었더니 치아가 몽땅 썩어 버렸지 뭐야?! 치 ... 도넛 같은 단 음식이나 치아를 부술 수 있는 딱딱한 음식을 피하세요. 그리고 음식을 먹은 뒤에는 꼭 이를 닦아야 한답니다 ... ...
- 개구리가 추운 경칩에 깨어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이 중에서도 크기나 깊이, 포식자의 유무, 물이 마를 가능성 등을 모두 따지고 비교한 뒤에 알의 생존율이 가장 높은 습지를 선택한답니다.그렇다면 다양한 습지 중에서도 개구리가 선호하는 산란지는 어디일까요? 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성남시 야탑동에 있는 맹산에서 북방산개구리가 ... ...
- [생활] 나만의 주치의, 맞춤의학수학동아 l2015년 05호
- 87% 확률로 유방암이 발생한다. 서정선 서울대 의과대학 유전체연구소장은 “질병에 걸린 뒤 드는 치료비보다 질병 예방을 위한 의료비가 더 적다”며, “환자들은 질병 예측으로 건강을 지킬 뿐만 아니라 의료비도 절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이미 병에 걸린 상태에서도 유전체 정보는 유용하게 ... ...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너무 복잡해요. 이걸 언제 다 새기지?”“일단 1, 5, 10 등 숫자를 나타내는 문자를 외운 뒤 그려봐. 훨씬 쉬울 거야.”독자기자들은 저마다 곱셈표를 그리는 노하우를 주고받으며 재미있게 만들었다. 점토판을 다 만든 독자기자들은 파피루스 종이에 사인펜으로 이집트 상형문자를 그리는 체험도 ...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보고 한눈에 반해 버렸지요. 곧장 기념품점으로 가서 첫 번째 수집품을 샀답니다. 그 뒤로 1년에 8~10번씩 해외 출장을 나갈 때마다 꾸준히 모았어요.Q 아름다운 광물에도 기준이 있나요?결정 모양이 뚜렷하고 색이 아름다워야 하지요. 똑같은 남동석(아주라이트)이라고 해도 탁한 파랑이 있는가 하면, ... ...
- [수학뉴스] 눈맞춤 기술로 자연스러운 셀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뒤, 두 사진의 대응점을 찾아 한 장의 사진으로 만듭니다.사진을 한 장으로 처리한 뒤에도 점과 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과정에서 바로 수학 원리가 쓰입니다. 이렇게 만든 3차원 사진과 영상에 얼굴에서 코나 귀처럼 튀어나온 부분의 깊이 정보를 더해 더 선명하고 현실적으로 ... ...
- [지식] 전기 신호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않았다.‘혹시 어떤 장치를 만들 수 있다면…, 심장 문제도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그 뒤로 그는 심장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전기 신호로 찾아낸 심장박동7년이 지났다. 그동안 그레이트배치는 버팔로대로 자리를 옮겼고, 학생들에게 전기기술을 가르치면서 꾸준히 ‘심장’에 대해서도 연구를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이끼 하나가 한 시간에 생산할 수 있는 산소량은 3.25×10$^{-10}$kg 정도다. 따라서 화성을 뒤덮은 이끼밭이 만들어 내는 산소는 시간당 4.78×10$^{8}$kg 남짓이다. 이 값으로 필요한 산소량을 나눠 주면, 5억 6500만 시간이 나온다. 지구의 시간으로 약 6만 4500년이다. 단군이 나라를 세운 다음 흐른 시간보다 ... ...
이전5125135145155165175185195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