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d라이브러리
"
해저
"(으)로 총 58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 속의 검은 황금 찾기
과학동아
l
198903
10% 미만이다. 석유개발사업은 위험부담 또한 높은 사없인 것이다. 요컨대 석유개발 특히
해저
석유개발은 기술적 능력 자본 인내심 없이는 성공할 수 없는 사업이다 ... ...
국산로봇개발 10년
과학동아
l
198903
로봇이 원자력발전소내에 방사선물질이 내장된 시설을 점검·보수하거나 인간을 대신해
해저
탐험을 하고 화재가 발생하면 불속에 뛰어들어 인간을 구출해내는 든든한 소방수역할을 감당해낼 날도 멀지않은 것이다.컴퓨터 반도체 등 다른 첨단기술과 마찬가지로 로봇도 애초에 미·소간의 군비경쟁 ... ...
석유·천연가스 등 자원과 군사적필요에 의한 새로운 관심 북극
과학동아
l
198902
가로지르는
해저
산맥은 '로모노소프' 해령(Lomonosov Ridge)으로 명명되어 있다.북극해
해저
의 또다른 특성은 유라시아대륙쪽으로 대륙붕이 잘 발달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북극해 총면적의 3분의 1은 깊이 2백m내외의 대륙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베리아 북부와 베링해협상부의 '추크치'(Chukchi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01
느리다.복의 배가 풍선처럼 부푼 모양은 참으로 우스꽝스럽다. 그것은 적을 위협하거나
해저
의 모래를 불어 일으켜 먹이를 잡기 위해서라고 한다. 또 독특한 것은 눈을 감았다 떴다 할 수 있다. 보통 바닷 고기는 그것이 될 수 없는데 복은 눈꺼풀에 해당되는 부분에 많은 주름이 있어 사진기의 ... ...
날로 늘어나는 자력선치료기들
과학동아
l
198901
자연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렇지만 지자기가 항상 고정불변의 것은 아니다.
해저
맨틀의 자성을 조사해보면 수백년마다 지자기의 N·S극이 바뀌거나 강도가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연구에 의하면 과거 5백년 동안 지자기는 약 반으로 줄었으며 최근 1백년 간에는 약 5%씩 감소했다고 한다. ... ...
아르메니아의 대참사를 계기로 다시 알아본다 지진은 왜, 어떻게 발생하나
과학동아
l
198901
대략 5.5㎝/년의 속도로 서로 엇갈릴 때 지각이 깨어지며 생긴 것이다.판은 약권의 물질이
해저
산맥에서 지표로 분출되어 만들어지며 다시 주로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해구(海溝)에서 맨틀 속으로 비스듬히 내려간다. 그러다가 대략 7백㎞의 깊이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에 의하여 딱딱한 물성(物性)을 ... ...
강력한 시력장해 교정렌즈 나올듯
과학동아
l
198810
모델이 되었기 때문이다.'워켄'교수에 의하면 코피리아의 암컷이 가지고있는 어두운
해저
에서 대상물을 보는 능력은 그 독특한 감각조직구조에 의한것이라는것. 그러나 수컷 코피리아는 오랜 옛날에 물체를 보는것을 포기하여 현재는 완전히 눈이 퇴화되어있다.워켄교수가 연구하고 있는 시력장해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10
적응하게 되었을까'라는 문제를 제기케 한다. 호수에는 1천6백m의 수압에 적응된
해저
서식 어류와 열대지방 해양에서 익히 볼 수 있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는 해면 동물류를 포함해서 약 2천5백종의 토착종이 서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것들로서는 호수의 신비함을 다 설명하지는 못한다. 가까이 ... ...
태평양
해저
에서 이상한 빛을 발견
과학동아
l
198809
해저
의 어떤 뜨거운 물질이 적외선을 낼수 있기 때문에 생긴 빛이라는것.이밖에도
해저
에서 여러 가지 물질반응이 일어나는 가운데 빛이 생길수 있다는 설명도 첨가되었다. 그러나 어떤 설도 충분치못해 '우즈홀' 해양연구소는 본격조사를 시작하기로 했다 ... ...
PART2 바싹 다가선 하이테크 스포츠시대
과학동아
l
198809
새로운 것, 새로운 기록에 대한 인간의 탐구와 노력은 끊임이 없다는 것이다. 인간은
해저
의 어둠과 압력에 대항하며 지구의 가장 깊은 곳으로 알려진 대양의 구렁으로 내려갔다. 또 지구에서 가장 높이 솟아 있는 정상에 올랐고, 우주공간을 횡단하는 모험을 하고 있다.인간의 도전은 여기 그치지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