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d라이브러리
"
해저
"(으)로 총 5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거보다 10배나 선명한 금성사진 찍을듯
과학동아
l
198908
4백70℃나 된다. 납도 녹일 온도이다.대기압력은 지구보다 90배나 큰데 이것은 지구의
해저
9백m에서나 느낄수 있는 것이다.금성에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물은 오래전에 사라졌다. 땅의 굴곡은 심하지 않은 것 같아 2천m이상되는 산은 관찰되지 못했다.금성은 지구와 크기나 질량 그리고 태양과의 ... ...
통신시장개방, 정보예속 초래할 위험 커
과학동아
l
198907
깔았던
해저
케이블임을 밝혀냈다. 당시 일제는 한국정부와 아무런 상의없이 이
해저
케이블으르 가설했다가 한국측으로부터 외교적 항의를 받았다는 문서가 아직 남아 있었던 것이다.현지를 답사한 한국전기통신공사 사료편집부 신영철씨는 발견 당시의 섬찟한 느낌을 공사의 사보에 이렇게 쓰고 ... ...
PART3 역사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07
그 주요요목은 다음과 같다.그러나 이 배는 몸집이 너무 커서 여객선으로는 실패하고
해저
에 전선을 부설하는 배로 쓰여지다가 1891년 완전히 해체되고 말았다. 당시 각광을 받던 대서양횡단 일류 여객선들이 대개 3천~4천t이었는데, 그레이트 이스턴호는 길이가 2배 톤수가 6배나 되는 거선이었으니 ... ...
귀소하는 거북
과학동아
l
198907
느낌도 가져 보지 못하였지만, 4천만년 후에는 매번 1천2백마일을 여행하게 되었다.
해저
의 확정이 거북이를 우롱한다는 가능성은 상당히 극적이 요소들이 있어서 이 가정을 믿으려는 경향이 강했지만, 하버드 대학의 '스테픈 제이 굴드'는 회의론자 중의 한 명이었다. 아센션 섬에 해변이 없었거나,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07
흩어지나 산호초호수의 수면에는 잔물결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 조용하고 맑은 호면은
해저
의 해조류와 모래와 산호를 여러가지 색깔로 비쳐보인다. 산호초호수 안쪽은 조용한 모래톱이 길게 선을 그리며 뻗어 있고 그 주변에는 야자나무가 이름답게 우거져 있다. 태양도 이곳에서는 모른 것을 ... ...
PART1 첨단 선박들에는 어떤 것이 있나?
과학동아
l
198907
현재 일부 여객선과 해양조사선에 이용 중이다.■해양개발 잠수정잠수정이 수심이 깊은
해저
에 들어가서 이상없이 활용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타고 있는 사람이나 기계를 보호하고 있는 선체가 압력에 충분히 견디어야 한다.해양개발을 위한 잠수정의 동력원은 육상에서 충전하여 잠수정의 옆구리 ... ...
상어보다 무서운 유독 가오리와 창꼬치 먹이로 달래 친구처럼
과학동아
l
198906
될 것이다. 창꼬치는 여유를 두고 공격하는 상어와 달라서 미리 손을 써야 한다.이번
해저
탐험에서 우리가 발견한 또 하나의 즐거움은 거대한 해면을 보았다는 것이다. 우리는 해면 속을 마치 '해먹'에 들어가듯 그속에 들어가 사진을 찍기도 했다.가오리나 창꼬치 모두 위험한 존재지만 그들을 알고 ... ...
마지막 남은 청정지역
과학동아
l
198906
그리하여 산소는 계속 물 속에 용해된다. 해류(海流)는 이 용해된 산소를 모든 곳, 심지어
해저
에까지 전달한다. 그렇지만 어느 정도의 산소가 있는가. 충분히 있는가?산소량은 온도에 좌우된다.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어떤 종류의 가스이건 보다 적은 양을 용해하게 된다. 여기에는 물론 산소도 ... ...
PARTⅡ 우리의 선택은?-고속전철인가,자기부상 열차인가
과학동아
l
198905
객차수도 10량으로 증가시켰다.앞으로 프랑스에서는 파리북부 '릴'까지 노선을 연장하고
해저
터널을 통해 영국'도버'까지 관통시킬 계획을 갖고 있다. 현재 파리~리용간의 하루 82회를 운영하여 매년 4천만~8천만달러의 흑자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 구간의 고속버스라든가 기타의 ... ...
극한 상태에서 사는 생물
과학동아
l
198905
밝혀졌다. 인류가 탄생하기 훨씬 이전부터 이런 생물은 생존하여 왔던 것이다 심
해저
의 열대광상에 오아시스를 형성하고 있는 생물들은 어쩌면 혼돈속의 지구상에 생긴 최초의 생물에 대하여 우리에게 새로운 설명을 하여줄지도 모른다.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큰 문제의 하나가 환경문제이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