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사물] 구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구글은 돈이 많은 회사다. 너무 많아 이상한 데 쓰는 걸 주저하지 않는다. 이를테면 지구를 떠나고 싶어하는 사람을 지원하는 일. 누구든 달 탐 ... 삼성전자가 1위였는데, 정확히 시가총액이 구글의 절반이었다. 과학에 돈 쓰는 것도 절반이면 우리나라도 지구를 떠나는 사람이 좀 생길 텐데 ...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손 모양 스텐실은 그 결과물일 뿐이라는 것이다. 어쩌면 우리는 동굴벽화나 무늬 등 눈으로 볼 수 있는 유물 자체에 집착하느라 선사시대 예술의 본질을 놓치고 있는지도 모른다. 과거의 사람들에게 예술은 작품을 만드는 활동이 아니라, 그것을 만드는 행위 자체였는지도 ...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웁실론A’와 기린자리의 ‘XO-3’ 별에 있는 외계행성을 관측하기로 결정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진행되는 일반인 외계행성 탐사는 ‘과학동아’가 중계한다. 따뜻한 봄밤, 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 저 멀리 떨어진 또 하나의 지구를 상상하는 것만큼 낭만적인 일이 또 있을까. [외계행성을 ...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드러나고 있다. 서두에 언급한 쥐 노로바이러스도 지속감염형 RNA 바이러스다. 사실 우리가 모르는 바이러스가 너무 많다. 인류는 겨우 100여 년 전에 바이러스를 처음 발견했다. 질병을 일으키는 급성감염 바이러스를 주로 연구하다보니 ‘바이러스=물리쳐야 할 나쁜 놈’이라는 인식이 생겼을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방송콘텐츠과 교수는 경기용 권총을 이용해 동안경굴의 잔향을 실험했어요. 그 결과 우리나라에 있는 실내 콘서트홀에 비해 잔향 품질이 좋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현무암으로 된 밀폐된 공간이 적절히 반사를 하는데다, 동굴 내부에 있는 다양한 암석 구조가 불규칙하게 있기 때문이었답니다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수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관이나 선입견.● 수동이의 신념 : 어쩐지 수학이 우리 생활 가까이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이다.각자의 수학 잠재 능력은 40분 동안 문제를 얼마나 잘 푸느냐로 판단할 수 없다. 그렇다면 수학 능력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중요하긴 한 걸까?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곧 ... ...
- [생활] 사물과 대화하는 세상, 사물인터넷수학동아 l2015년 03호
- 한계가 있다. 대신 스스로를 컴퓨터와 연결해 어떤 능력을 높일 수는 있다. 이미 우리는 일상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이전까지는 불가능했던 일을 하고 있다. 버스를 놓친 후 다음 버스가 언제 올지 알 수 있다.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걸려오면 소프트웨어가 순식간에 자동으로 인터넷을 ... ...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확인할 수 있었다. 기자단은 어렵게만 느껴졌던 3D 프린터가 일반인도 쉽게 쓸 수 있고 우리 생활에 생각보다 훨씬 가깝게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는 소감을 남겼다.무한상상실은 언제나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기다리고 있다. 나만의 무언가를 만들고 싶다면, 지금 당장 무한상상실을 방문해 보는 건 ... ...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사실 ‘세계1’과 ‘세계2’를 판가름할 수 있는 필연적 이유가 없다. 그리고 우리는 공간 자체를 보지 못하므로 물체들만 봐서는 두 세계를 구별할 방법이 전혀 없다. ‘세계1’과 ‘세계2’는 같은 것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데 지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라이프니츠는 이런 설명을 통해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MRI의 기본 원리는 물속 수소원자가 자기장에 반응하는 것인데, 우리 몸의 70%가 물입니다. 맘만 먹으면 뇌 속 동맥, 정맥, 뉴런(신경세포) 등 거의 모든 곳을 뇌를 열지 않고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상용화된 MRI 종류만 10가지가 넘을 정도입니다.제가 최근 관심을 가지고 있는 ... ...
이전5115125135145155165175185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