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마세요!화재로부터 사람의 안전을 지키는 데도 과학이 필요하다는 사실, 잘 알았죠? 평소
우리
집 소방 시설을 자주 점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화재 예방법이라는 사실도 꼭 기억하세요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보통 황사는 봄에 많이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4월은 1년 중 평균적으로 황사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시기다. 그런데 지난 겨울, 최악의 황사가 들이닥쳤다. 12~2 ... 예보를 유심히 살펴 보자. 딱딱하게만 보였던 지도 위의 기호와 숫자가 황사로부터
우리
를 지켜 주는 방패로 보일 것이다 ... ...
[생활] 인천 동산중 안정덕 선생님 수학, 글쓰기로 키운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운동장에 가득했다. 추위에 몸을 잔뜩 웅크렸던 기자는 왠지 모를 기운을 받으며 ‘
우리
들의 수학쌤’ 안정덕 선생님을 만나러 교무실로 향했다.누구나 수학을 느낄 수 있다“특별한 건 없어요.”겸손한 말과 달리 선생님의 책상부터 예사롭지 않았다. 학생들이 손수 연필과 나무젓가락으로 만든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글자가 다르다. 한글이나 알파벳뿐 아니라 숫자와 수학기호도 점자로 나타낼 수 있다.
우리
가 교과서를 눈으로 읽듯이 시각장애 학생들은 손가락 끝으로 훑으면서 읽는다.학생들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이나 계산하는 과정을 점자정보단말기인 ‘한소네’로 적기도 한다. 자판 여섯 개를 두드리면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태동하는 뉴로마케팅실험실 문을 열고 들어가자 낯선 풍경이 펼쳐졌다. 덩그러니 놓인 TV 한 대. 그 앞에 뒤돌아 앉아있는 연구자. 머리에는 녹색 센서 20여 ... 자신의 연구 분야를 “그야말로 융합학문”이라면서 “여러 관심분야를 가진 학생이
우리
학부에 들어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드디어 시작! 섭섭박사와 함께하는 기자교육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친구들의 고민을 받아 해결해주는 시간도 준비했으니 기대해도 좋아! 그리고 이건
우리
끼리 비밀인데…, 를 정기구독 중인 어과동 기자단 친구들을 우선 선발하는 특전도 있단다. 고민하지 말고 지금 바로 신청해~!교육일시 | 2015년 2월 25일 2시~4시장소 | 용산 동아사이언스 본사 ... ...
바다 민달팽이 광합성의 비밀은 ‘먹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사는데, 색이 주변과 똑같기 때문에 천적이 이 바다 민달팽이를 찾기 매우 어려워요.
우리
눈에는 보석처럼 예쁜 초록색이 아주 훌륭한 위장색인 셈이지요. 게다가 겉모습만 초록색이 아니에요. 실제로 먹이가 부족할 때는 식물처럼 광합성을 해서 영양분을 보충하지요.최근 바다 민달팽이가 어떻게 ... ...
만신창이 황다랑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어렵고, 잡아도 못 먹는 사태가 발생할 거예요. 맛있는 참치를 잔뜩 먹는 것도 좋지만,
우리
와 바다를 보호해 줄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전세계 국가들의 협력이 필요해요. 참치 도넛 같은 말도 안 되는 음식은 생각하지도 말고 말이지요 ... ...
까치가 현대사회에서도 살아남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불어도 까치의 새끼는 안전한 둥지 안에서 자랄 수 있지요. 2003년 슈퍼태풍 매미가
우리
나라를 휩쓸고 지나가 건물이 무너졌을 때도 까치둥지는 끄떡없었답니다.흑백 무늬는 흉폭함의 상징까치가 현대사회에서도 잘 적응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는 ‘흉폭함’이에요. 까치를 보면 검은 바탕에 날개 ...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속도 값에 -1을 곱하면 같은 속력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죠. 처음엔 아주 신기했어요.
우리
작업 방식을 보고 수학이 이렇게 예술적인 곳에도 쓰일 수 있다는 걸 사람들이 알았으면 좋겠어요.”수학 이야기를 이렇게 즐겁게 하는 아티스트들이 또 있을까.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냐는 기자의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