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손톱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구멍이 나 있다. 그리고 원형탈모증 환자는 손톱에 작은 돌기가 생길 수 있고, 손톱에 흰
빛
이 도는 가로줄이 나타나면 혈액내 알부민의 부족 또는 유독화학약품에 기인한 신장질환에 걸렸을 가능성이 크다.'손톱처럼 강하게'란 표현이 있듯이 손톱은 웬만한 외부자극에는 잘 견뎌낸다. 그러나 ... ...
컴퓨터의 땀을 닦아라!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어떨까?① 4배 ② 2배 ③ $\frac{1}{10}$ ④ $\frac{1}{100}$ 맞춰보고1.③ 1나노초(1nsec)는
빛
이 30cm밖에 전진하지 못하는 매우 짧은 시간이다. 공학에서 이러한 정밀도를 요하게 된 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컴퓨터의 기억장치들의 데이터 검색속도를 보면, 하드디스크(hard disk)는 20밀리초(1백분의 2 ...
지구가 끄는 힘, 중력의 의미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빛
이 휘는 각도는 더욱 커진다. 그리하여 마침낸 검은구멍(black hole)과 같은 천체에서는
빛
이 아예 (그림3)처럼 휘어서 들어가게 된다. 이처럼 뉴턴과 아인슈타인에 의해 기술되는 중력은 우리의 상식을 완전히 벗어난 신비한 우주를 전개하게 된다.중력은 중력 가속도에 의해서 기술된다. 이제 완전히 ... ...
(1) 「3년만에 20만」 통신인구 폭발적 증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서비스는 PC 사용자들이 푹 빠져들 만큼 충분히 매력적인 것이었다.동전에는 양면이 있고
빛
이 있으면 그림자가 있듯이 컴퓨터통신의 확산은 부정적인 현상도 확대 재생산했다.전자우편을 남용해 상대방이 짜증스러울 정도로 많은 메일을 보내거나, 편지함에 광고물을 무절제하게 보내 PC통신도 ... ...
로봇 3형제의 묘기대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세대의 카메라가 동원된다. 방법은 촬영대상물에 격자무늬를 때려 이로 발생하는
빛
의 간섭을 통해 3차원 영상데이터를 읽어들인다. 이를 보통 모아레기법이라고 하는데, 사람의 등뼈가 휘어졌는지를 파악하는 등 의학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과학의 발전으로 모아레기법의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별자리인 큰개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가 인용되고 있음을 지적해 둔다.네째 목성은 노란
빛
을 띤 행성이다. 붉은 행성은 화성 하나 뿐이다 실제로 한 번이라도 목성을 본 사람이라면 이것은 쉬운 문제이다. 요즘은 마침 목성을 관측하기 이주 좋은 때이니 한 번씩 찾아 보기 바란다. 찾는 요령은 이 ... ...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그러나 이 호화비행선은 1937년 5월 수소가스 폭발사고로 많은 희생자를 낸 후 점차
빛
을 잃어갔다. 또 날개가 달린 성능좋은 비행기가 개발점에 따라 비행선은 장점을 가질 수 없었다. 현재 가끔 떠 다니고 있는 비행선은 수소 대신에 안전한 헬륨가스를 쓰고 있는데 선전용이나 기타 특수한 ... ...
멀리있는 실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사용해도 은하계는 색깔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멀리서 벌어지는 모든 회색
빛
폭력은 우리의 잘못된 인식일 뿐이다.천연색 필름을 이용하면 우주는 갑자기 그 아름다움을 자태뿐 아니라 색깔로 나타낸다. 물론 천문학자들은 필름으로부터 얻은 그 천연색 영상이 과연 '현실'인지 잘 몰라 저 ... ...
온실효과로 인한 기온상승 밤에만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나타난다. 즉 낮에는 SOx의 에어로졸이 태양
빛
을 반사함으로써 온실효과를 억제하고 태양
빛
이 없는 야간에는 낮에 더워진 지구로부터 방사된 열을 흡수해 기온이 상승한다는 해석이다.만약 이 이론이 받아들여진다면 SOx의 방출을 억제하는 것이 오히려 지구온난화를 촉진하는 결과가 돼 환경정책에 ... ...
하이테크 압력식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열을 이용한 음식의 조리는 1만년 전부터 있어왔다. 그런데 압력조리법은 왜
빛
을 보지 못했을까. 사실 고압물리학이 소개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들어서다. 압력이 본격적으로 공업분야에 이용되기 시작한 역사가 짧다는 뜻이다. 기껏해야 세라믹가공이나 알루미늄새시의 성형가공, 워터제트(일명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