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심취하거나 환경보호론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우주에서 바라본 지구는 사파이어
빛
을 내는 별로, 그 아름다움에 넋을 잃는다고 한다.갖가지 무중력 실험우주정거장의 환경은 지구와 전혀 다르다. 지구중력의 약 1백만분의 1인 마이크로 중력 환경(거의 무중력 상태)을 가진다.이러한 ...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관측」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나와 지방의회에서 결의를 했다고 합니다. 가로등에 덮개를 씌워 하늘쪽으로 가로등
빛
이 가지 못하게해 거리는 밝고 밤하늘은 어둡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 거리에서는 천체사진을 찍어도 항상 원래의 밤하늘 모습이 나온다고 합니다.조상 한집에 한등 끄기만 해도 에너지도 절약되고 밤하늘의 ... ...
시차는 일광욕으로 극복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와 함께 시차극복의 한 방편으로 일광욕을 즐기라는 독특한 방법을 제시했는데, 강한
빛
의 자극이 생체시계를 빨리 돌리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실제로 3천~1만 럭스의 조명을 사용해 실험을 한 결과 생체리듬을 조절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음이 증명됐다고 '쿼크지'는 밝히고 있다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의견이 모아졌다. 좋은 밤하늘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되도록이면 노출을 많이 주어
빛
을 많이 모으는 것이 좋으나 광공해가 심한 도시에서는 노출시간이 많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사진4). 마지막으로 육안 관측과 가장 유사한 모습의 사진(도심은 고정촬영 f/1.4 노출시간 10초, 근교는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않아 별로 태어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유명한 SF영화인 '2121 Space Odyssey'에서 목성이
빛
나는 별로 변해 마지막 장면을 장식하는 이론적인 근거는 바로 이것이다. 최근에 거론되고 있는 '갈색왜성'이라는 별도 바로 이러한 것이다.반대로 성간물질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1백배가 넘으면 중력 수축이 ... ...
마이클 화이트·존 그리븐 「스티븐호킹의 삶과 사랑」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저는 어떤 페이지는 전혀 이해할 수가 없던데." 린데가 말하자 그 사업가는 측은하다는 눈
빛
으로 린데 쪽으로 몸을 기울이고"어디가 이해가 안 가는지 말해봐요. 설명을 줄 테니…" 하였다는 것이다 ... ...
에어하트의 비행기 실종 미스터리 추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따라 점차 잊혀지고 있었다. 그러나 길레스피와 그의 아내의 집요하고 끈질긴 노력이
빛
을 본다면 멀지않아 그 수수께끼가 풀릴 것으로 보인다. 길레스피조사팀은 금년 여름에 니쿠마로로섬에 대한 세번째 탐험에 나설 계획이다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등 비교적 면적당 밝기가 밝은 것들이고 은하는 효과가 적다.이상으로 대도시 불
빛
아래에서의 관측에 대해 간단히 알아 보았다. 물론 깨끗한 하늘 아래에서의 관측은 더할 나위 없는 기쁨과 감동을 주지만 점차로 바빠지고 혼잡한 생활에 묻힌 도시인들에게는 좀처럼 기회가 닿지 않는 경우가 많다.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한바퀴씩 회전하지만 이 희귀한 밀리초 맥동성은 얼마나 빨리 회전하는지 무선 표지가
빛
의 속도의 13%의 속도로 보내진다. 과학자들은 푸른 방황별들과 밀리초 펄사들이 흔히 발견되는 고도로 밀도높은 별의 주변에서의 충돌현상이 빚은 결과이리라고 추측하고 있다.공모양의 별무리라고 해서 모두 ... ...
신형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홀로그래피의 원리까지 가미하고 있다. 이 생소한 하드렌즈는 눈에 들어오는
빛
을 분산시켜 명암은 같지만 초점거리가 다른 두개의 영상을 만든다. 그러면 뇌는 둘중 어떤 영상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가를 결정한다. FDA는 최근 복초점렌즈와 다중초점렌즈의 출고를 승인했다.사고 수술 출생시의 ... ...
이전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