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과학동아 l1992년 07호
- 16˚11')백조성운이라고도 불리며 그 옆에 성단을 가지고 있다. 작은 망원경에 나타나는 이 빛의 얼룩은 어렴풋이 헤엄치는 백조의 모습처럼 보인다. U자형의 모양 때문에 오메가(Ω)나 말굽으로 불린다. 거리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수천 광년 정도로 생각되고 있다.4. 사수자리성단(M 24, NGC 6603, RA 18h 18m, ... ...
- (3) 컬러프린터의 세계 1천6백만가지 색상 표현과학동아 l1992년 07호
- 가장 저가의 컬러 프린터인 데스크젯 500C에서는 이 컬러 팔레트 대신 청색 빨강 노랑의 빛의 삼원색을 사용하여 색상을 표현한다.컬러 프린터의 출력속도는 흑백출력에 비해 당연히 느리다. 프린터로 출력하는 모든 선과 원이 래스터 출력으로 이루어지는데, 흑백만을 지원할 경우 검정과 백색에 ... ...
- 생약, 어떻게 만들어지나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대개 코팅제를 입힌다. 코팅을 하는 이유는 수분침투를 막아 약의 변질을 방지하고, 빛의 침투를 차단해 광분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색깔을 넣어 구별을 쉽게 하고, 쓴 맛을 일시적으로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 정제끼리 서로 달라붙지 않게 하기 위해서도 코팅을 한다.코팅제로는 HPMP와 ... ...
- 적외선 레인지 국내 시장 상륙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솥과 같이 밑이 둥근 구조의 그릇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 조리시에 발산되는 빛이 눈을 부시게 한다는 지적도 있다. 게다가 가격이 무척 비싼 편이다. 현재 한대의 가격이 50만원을 상회한다.국내에서 월간 판매량이 1천대 정도인 적외선레인지가 적외선의 활용처를 하나 더 늘려놓은 참신한 ...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과학동아 l1992년 06호
- 그것은 인간이 활용하기 나름이다. 다른 문명의 이기와 마찬가지로 컴퓨터에도 빛과 그늘 양면이 공존한다.전자계산기라는 다소 둔중한 느낌의 단어는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 이제는 그 누구도 '컴퓨터'를 '전자계산기'라고 애써 번역해서 부르지 않는다. 학과의 명칭이 '컴퓨터공학과'라고 해서 ... ...
- (2) 인종에 맞는 제품 따로 있다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수 있다. 그런데 자외선에 의한 피부 홍반방지에 주안점을 둔 외국제품은 근본적으로 햇빛에 대한 방어개념이 달라 외국화장품을 바를 경우 흰 피부를 유지하기 어렵다.셋째로 피부가 원하는, 스트레스 없는 가장 편안한 상태를 제공하지 못한다.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피부생리기능이 저하된다. ... ...
- 태양의 영원한 라이벌 전갈자리과학동아 l1992년 06호
- 파장의 빛(무지개 색 중 보라색쪽)이 많이 산란되고, 따라서 파장이 긴 붉은 색 계통의 빛이 잘 통과하여 안타레스가 더욱 붉게 보인다.안타레스는 괴물의 심장에 아주 잘 어울리는 거대한 크기의 초거성이다. 그 지름은 태양의 7백배 정도이며, 그 실제 밝기는 태양의 6천배 이상이다. 질량은 태양의 ...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설명하기 위해 가정된 인플레이션 가설이다. 셋째는 별과 은하를 이루고 있는 물질보다 빛을 발하지 않는 차가운 암흑물질이 우주의 대부분의 질량을 차지한다는 가정이다. 마지막으로 별이나 은하 은하단 등이 중력수축에 의해 형성됐다는 가설이다.이 네개의 아이디어가 모여 우주의 나이가 ${10}^ ...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1992년 06호
- 브라질이나 말레이시아 같은 당사국은 나무를 팔지않고 어떻게 당신네 선진국에 진 빛(외채)을 갚을 수 있느냐고 맞선다. 또 선진국과 개도국으로만 진용이 나뉘는 것은 아니어서 같은 선진국 중에도 이산화탄소배출량 삭감에 미온적인 미국은 EC나 노르딕(스웨덴등 지구환경문제 해결의지가 높은 ... ...
-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과학동아 l1992년 06호
- '전자귀'다. 예컨대 1백억광년 떨어진 퀘이사가 낸 빛까지도 추적할 수 있다. 달에서 오는 빛이라면 촛불까지도 쪽집게처럼 집어낼 수 있다.우주의 생물체가 보내는 전파를 포착한다는 것은 참으로 흥분되는 일이다. 1982년 국제천문연합에서 이 문제가 처음 거론됐으므로 10년만에 그 꿈을 실현할 수 ... ...
이전5075085095105115125135145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