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메드의 정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누구도 보지 못하게 초로 적어놨거든. 선생님께서 여기에 낙서를 하지 않으셨다면
발견
하지 못했을 거야.”“낙서라니?! 이 허풍님이 다 선견지명이 있어 글을 몇 자 적었을 뿐이지.”“가로세로 각 줄에는 각각 알파벳 한 개와 검은색 원 두 개가 들어가. 그런데 알파벳 M은 검은색 원 4개가 빈칸 ... ...
성적이 계속 떨어져서 고민이라면?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질문을 던졌다. 그 결과 J학생이 이과 보다는 예술계열 쪽에 더 흥미를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예체능에 더 흥미가 있고 소질도 있는 것 같아. 아마도 네 스스로 자신감이 많이 떨어져서 꿈으로 삼기가 힘들었을 거야. 목표가 정해져 있지 않으니 모든 걸 다 해야 될 것 같고, 모든 걸 다 해야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수상했다. 이들의 주장이 맞다면 액체, 기체에 이어 고체에서도 BEC 현상이
발견
된 것이다. 2004년 논문에 물리학계가 흥분한 이유다. 스승의 스승이 반대그 뒤 전 세계 10여 곳 실험실에서 김 교수의 실험을 재현했고 그 결과 초고체의 존재가 받아들여지는 듯 했다. 하지만 몇몇 물리학자들이 이의를 ... ...
Part 4. 외계생명체 탐사 연대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어떤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왔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Part 4. 외계생명체 탐사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성분인 셀룰로오스에 탄소나노튜브를 층층이 섞으면 전도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
한 것이다. 김 교수팀은 이미 2000년대 초반, 종이에 전류를 흘려주면 파르르 떤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것은 어떤 물질을 누르거나 구부리면 전기가 생기는 압전효과의 반대 현상이다. 그 뒤 NASA와 함께 원격 ... ...
태양광으로 힘 얻는 말벌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햇빛의 반사를 막고 산란시켜 최대한 빛을 흡수한 뒤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을
발견
해 독일의 ‘자연과학’지 최근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원자현미경으로 황말벌의 상피를 관찰했다. 황말벌은 짙은 갈색 몸에 큰 노란줄무늬를 가지고 있다. 줄무늬 옆에 있는 갈색 상피에 16nm(1나노미터=1 ... ...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밭이 있었다. 몇 년 뒤 어느 날 재를 뿌려 놓은 땅 위에 흙이 한층 더 생겨 있는 것을
발견
했다. 흙이 생물처럼 번식이라도 한 걸까. 다윈은 지렁이의 똥에 주목했다. 그가 재를 뿌려뒀던 밭은 새로운 흙층이 생겨 표면에는 재가 없었지만, 지렁이가 치약을 짜놓은 듯 만들어놓은 배설물 안에 재가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밝혀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긴 RNA를 잘라 마이크로RNA를 만드는 효소인 ‘드로샤’를
발견
한 것이다. 2009년에는 miR-29가 암 억제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는 내용을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에 발표했다.김 교수는 이와 같은 공로로 2007년 여성 과학계의 최고상으로 꼽히는 ‘로레알 유네스코 ... ...
1년간 수학동아 부록 표지에서 만나는 컴퓨터 그래픽 예술가 폴 닐랜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날, 웹 서핑 중 우연히
발견
한 홈페이지. 그 홈페이지는 흔하게 볼 수 있는 블로그 형태였다. 그 안에는 가볍게 여길 수 없는 ‘Math ArtWork’라는 메뉴가 있었다. 홈페이지를 구석구석 누비며 여러 작품을 관람한 수학동아 편집부는 이내 술렁였다. 곧 그의 작품을 수학동아 독자들에게도 소개하기로 ... ...
Intro. 노벨상 예약한 수상한 물질 삼형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여러 차례 노벨상의 영예를 안았다.흥미롭게도 초고체와 다강체는 한국인 과학자들이
발견
했거나 발전을 이끌고 있다. KAIST 물리학과 김은성 교수는 지난 2004년 초고체의 존재를 처음 보고했고, 같은 해 미국 럿거스대 물리학부 정상욱 교수와 인하대 물리학과 허남정 교수는 자기장에 따라 전기 ... ...
이전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