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의과대학의 주다 포크먼 박사팀은 실험 실에서 사람의 조직을 키우다가 이상한 점을
발견
했어. 혈관이 생기면서 잘 자라야 할 조직이 금세 죽어버리는 거야. 자세히 살펴 보니 ‘아스퍼질 러스 푸미가투스’라는 곰팡이가 피어 있었지. 이 곰팡이가 만들어 내는 ‘푸마질린’이라는 물질이 혈관을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가면무도회의 불청객무도회장 구석에 쉬러 왔다가 웬 물고기 한 마리가 숨어 있는 걸
발견
했어. 눈이 한쪽으로 몰린 넙치였지. 이렇게 비대칭적인 모습을 한 그가 여기에 있어도 되는 걸까? 나와 눈이 마주치자 넙치는 이렇게 속삭였어.“쉿! 그 가면을 내게 줄 수 있을까? 나도 무도회에서 놀고 싶어 ... ...
얼어 죽은 사람이 되살아난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일이 있었어요. 2006년 일본에서는 눈 내린 산에서 체온이 22℃, 심장은 멈춘 상태로
발견
된 남자가 되살아난 일도 있었지요.미국 프레드허친슨암센터의 마크 로스 박사는 이 두 사건을 보고 사람들이 되살아나는 것이 저산소와 관련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이를 확인하기 위해 한 그룹의 효모와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벌집 모양의 긴 원통처럼 생긴 탄소나노튜브는 1991년 일본의 수미오 이지마 박사가
발견
했다. 탄소나노튜브는 인장력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우주엘리베이터를 만드는 데 충분하다.재료 이외에도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지구 대기 상층부에서 부는 강한 바람, 번개, 운석,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탐험가 제임스 쿡이 사용하던 배와 이름이 같다. 앞으로 우주 미션을 수행하면서 새로운
발견
을 많이 하라는 기대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그래서였을까. 나는 1981년 우주왕복선이 처음 등장한 이래 총 5대의 우주왕복선 중 가장 긴 운영 기록을 갖고 있다(38번 발사돼 총 351일을 우주에서 살았다!)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뜻을 지닌 라틴어 ‘fractus’를 변형한 것이었다. 1977년에는 보스와 함께 도처에서
발견
한 아이디어를 숙성시켜 영문판 ‘프랙탈’을 내놨다. 프랙탈의 히트 요소, 컴퓨터와 시각화프랙탈은 사람들의 마음을 바로 사로잡지는 못했다. 학계의 반응은 여전히 싸늘했고, 일반인들의 흥미를 끌지도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실험 결과가 공개됐기 때문이다. 안동대 지구환경과학과 정기영 교수는 어뢰 추진체에서
발견
된 물질의 성분을 분석한 뒤 100℃ 이하의 온도에서 만들어지는 ‘비결정성 알루미늄황산염수화물’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이 물질이 고온고압의 폭발로 만들어진 ‘비결정성 알루미늄산화물’이라는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우리 안에 어린 황새를 넣어서 사회화 훈련을 하면 번식률이 크게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이 방법을 도입하자 2~3년 만에 5쌍의 황새가 번식에 성공했다. 그 뒤로는 황새 개체수가 순조롭게 늘어나 2010년 현재 모두 97마리의 황새가 황새복원센터에 살고 있다. 번식에 성공했다고 복원에 성공한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축에 머물렀던 일본군의 흔적은 곳곳에서
발견
된다. 바닷속에도 전쟁 당시의 유해가
발견
되기도 한다. 센터 뒷산에 있는 등대도 그때 세워진 곳이다. 우거진 수풀을 지나 20여 분 올라가니 하늘 위로 솟은 작은 등대가 나타났다. 검게 그을린 등대 안팎에서 세월의 흔적이 느껴졌다.점심을 먹고 ... ...
과학동아 특집 ‘코리아노사우루스’ 정식 학명 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됐다. 본지 2005년 7월호 공룡 특집의 제목이었던 ‘코리아노사우루스’가 최근 한국에서
발견
된 신종 공룡의 공식 학명으로 등재된 것이다. 이 공룡에 이름을 붙인 사람은 당시 특집 기획에 참여한 허민 전남대 교수(한국공룡연구센터장·사진)다.허 교수는 “5년 전 ‘과학동아’ 특집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