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스페셜
"
실험실
"(으)로 총 609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나방이 존재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또 야생에서 충분한 개체수를 확보하지 못해
실험실
에서 키운 나방을 같이 쓴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2012년 미국의 저널리스트 주디스 후퍼의 책 ‘나방과 인간’이 나오면서 케틀웰의 실험은 결정타를 맞았다. 책에서 후퍼는 케틀웰을 포드 교수에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
IBS
l
2016.06.02
현상을 최초로 발견하고, 이를 이론으로 설명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했다.
실험실
에서 단지 1g의 증류수로 LED램프 6개를 쉽게 밝힐 수 있었는데, 현재 전 세계 많은 공학자들이 이 연구를 에너지 하베스팅 관점에서 뒤따르고 있다. 글로벌 융합 연구의 용광로에 불 지피다 그는 ... ...
SOS, 도와달라고 잘 말할수록 더 유능해진다
2016.04.19
사람을 이전보다 더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 Schweitzer 등의 연구에 의하면
실험실
에서의 파트너가 “조언을 구할 수 있을까요?”라고만 물어봐도 조언을 구하지 않은 파트너에 비해 ‘우수’하고 자신도 나중에 조언을 구할 수 있을만한 사람이라고 평가하는 등 후한 평가를 내리는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
IBS
l
2016.04.04
필요한 것이죠.” 실험동물의 뇌에 심을 전극을 만드는 연구원의 모습. 연구실 안 여러
실험실
들에서는 실험동물들의 의사결정과 기억에 관한 연구가 한창이다. - IBS 제공 최근 연구팀은 유전자 조작으로 치상 부위가 손상된 생쥐를 만든 뒤, 특별하게 제작된 수중 미로에 넣고 생쥐의 행동을 ... ...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치료물질 개발을 위해 뛴다
IBS
l
2016.03.02
젊은 연구원이다. - IBS 제공 포스텍 캠퍼스 깊숙이 자리 잡은 화학관 건물의 한
실험실
. 이은성 연구위원(포스텍 화학과 교수)이 검은 고무장갑 한 쌍이 팽팽하게 나온 글러브박스(밀폐공간이 필요한 실험을 위해 실험 상자에 고무장갑을 달아, 실험자가 외부에서 고무장갑에 손을 넣어 밀폐된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
2016.01.18
눈은 구름의 기체(수증기)에서 고체(눈결정)가 만들어지는 과정인 반면(따라서 나카야가
실험실
에서 만든 눈결정은 인공눈이 아니라 ‘합성눈(synthetic snow)’이라고 부른다), 인공눈은 고압의 공기가 나오는 출구에 미세한 물방울(액체)을 분사해 순간적으로 얼려 만든다. 즉 인공눈은 눈결정이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
2016.01.08
수개월 일정으로 초빙한 것. 17년 만에 현장에 복귀한 헤크는 매일 아침 8시에
실험실
에 출근했고 당황한 대학원생들은 그보다 더 일찍 나오느라 고생했다고 한다. 헤크는 “필요한 정보는 모두 다 얻어야 한다”며 학생들에게 각종 분석기기의 사용법과 데이터 해석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2010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에이즈 환자 목숨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
2016.01.07
확립돼 에이즈 환자 수백만 명의 목숨을 구했다. 79세의 나이에도 45년째 면역
실험실
실장으로 왕성히 활동하며 지난 9월 8일 일반인을 위한 교양과학서 ‘Immunity(면역)’도 출간했지만, 열흘 뒤 그 자신 면역세포의 암으로 사망했으니 인생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 필자소개 서울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논문까지 쓰게 됐다. 1954년 펜실베이니아대 생물학과에 들어간 데이비슨은 헤일브룬의
실험실
에서 지냈고 졸업뒤 대학원까지 이어 다니려고 했지만 헤일브룬은 당시 뜨는 분야인 유전자 발현을 연구해보라며 록펠러대의 분자생물학자 알프레드 머스키 교수에게 보냈다. 1963년 박사학위를 받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암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준 ‘크리스토퍼 마셜’
2016.01.04
자세를 누그러뜨려 오히려 다독여줬다고 한다. 또 연구에 매몰돼 삶에서 진짜 중요한 것(
실험실
밖의 생활과 가족)을 잃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한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