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스페셜
"
실험실
"(으)로 총 60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설명할 수 있는데, 지면 관계상 생략한다. 궁금한 독자는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
’을 읽어보기 바란다. 진부한 표현이지만 정말 ‘소설보다도 재미있는’ 책이다! 두 가지 압력 센서 넣은 전자피부 패혈증으로 조직이 괴사해 절단한 왼팔 말단에서 환상 손에 해당하는 지도를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2003년 1월 두 번째로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방사화학
실험실
’이라고 불리는 이런 재처리 시설이 북한 핵시설 해체의 ‘키(key)’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서 부장은 “강한 방사선을 내는 사용후핵연료와 플루토늄을 직접 처리하는 시설”이라며 “모든 북핵 시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면역반응 진영이었다가 최근 포드맵 진영으로 전향했다. 룬딘은 피터 깁슨 교수의
실험실
에 2주 동안 머물 기회가 있었는데, 그의 주장을 반박할 기회라고 생각하고 공동실험을 제안했다. 이들은 글루텐 프리 식단을 실천하고 있는 59명을 모아 과자 세 종류를 나눠주고 일주일에 한 가지씩 먹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이름을 만났다. 장현갑 영남대 심리학과 명예교수의 인터뷰 기사로 ‘심리학자의 인생
실험실
’이라는 책을 낸 게 계기다. 장 교수는 2011년 과학동아 12월호에서 명상의 과학을 특집으로 다룰 때 취재원이자 글 한 편을 맡아 쓰기도 했다. 전화와 이메일로 연락을 주고받았는데 하루는 장 교수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나이가 들어도 사망률이 높아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공 ‘이라이프’)
실험실
환경에서 반감기 19년 동위원소가 붕괴를 일으켜 절반이 사라질 때가지 걸리는 시간을 반감기라고 부른다. 남아 있는 원자들의 절반이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앞의 시간과 같다. 이처럼 개별 원자가 언제 ... ...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로잔공대 교수, 요아킴 프랭크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리처드 헨더스 영국 분자생물학MRC
실험실
프로그램 리더가 극저온전자현미경을 개발하고 발전시킨 공로로 수상했다. ☞ Alessandro Vannini(2017), Structural basis of RNA polymerase III transcription initiation, Nature 553, 301–306 doi:10.1038/nature25441 ☞ Christoph W.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3
더 널리 알려졌다. 충동적이고 난폭할 뿐아니라 연민도 느낄 줄 아는 프랑켄슈타인.
실험실
에서 탄생했지만 인간처럼 감정을 가진 것으로 묘사됐던 프랑켄슈타인을 실제로 만들려는 과학자들의 열망이 이어지고 있다. 과연 언제쯤 프랑켄슈타인을 온전히 구현할 수 있을까? 2018년형 현대적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유령을 보는 환각을 경험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그가 일하는 곳은 ‘유령이 나오는
실험실
’로 불리었습니다. 원인은 조용히 돌아가는 팬이 만들어내는 초저주파였습니다. 팬은 사람의 눈에 공진을 일으키는 18.98㎐의 초저주파를 발생시켰습니다. 하트퍼드셔대학의 심리학자 리차드 와이즈만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많이 받았다며(로스바쉬의 공동연구자 제프리 홀은 1971년 박사후연구원으로 벤저 교수의
실험실
에 들어갔고 동년배인 코놉카와 친하게 지냈다. 코놉카는 홀과 로스바쉬의 1984년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그가 칼텍 교수로 있을 때 냉소적인 유머와 박학다식함이 버무려진 강의로 ... ...
수 천만 개의 원자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때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응축(BEC)’ 현상이란 이름이 붙었다. BEC의 이론적 현상이 제기된 진 오래지만 실제
실험실
에서 이 현상을 증명한 건 불과 20년 밖에 되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왜 눈에 보이지도 않는 원자의 거동을 연구하려 끊임없이 노력할까? 이번 주 ‘사이언스’에는 과학자들이 현재까지 BEC 연구를 통해 이룬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