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스페셜
"
실험실
"(으)로 총 6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 고기, AI비서…빌 게이츠 선정 올해 10대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02.28
영양을 섭취하게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쟁기가 인류에게 있어 양을 늘려 줬다면
실험실
고기는 질을 늘려줄 것이라는 뜻이다. 웰빙을 위한 기술들도 다수 선정됐다. 빌 게이츠는 인류의 기대수명이 1913년 34세에서 현재 71세로 늘어났다며 이제는 질에 초점을 맞출 때라고 봤다. 조산아 예측, ... ...
[과학게시판]아시안 사이언스 캠프 2019 한국대표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위해 ‘
실험실
창업기업 공개 투자데모데이’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실험실
창업기업의 우수성 홍보 및 민간 투자유치 촉진을 위해 마련됐다.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과 7개 투자기관이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초기기업의 성공적인 투자유치 전략’을 주제로 서학수 ... ...
스모그 먹고 자란 박테리아가 미세먼지 된다
과학동아
l
2019.02.05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2017~2018년 네 차례에 걸쳐 스모그 샘플을 수집했다. 연구팀이
실험실
에서 이 샘플을 분석한 결과, 스모그에는 아시네토박터, 고초균 등의 박테리아가 섞여 있었고 종별로 50~70%가 스모그 속에서도 계속 생존했다. 연구팀은 박테리아들이 스모그 내 오염물질을 먹고 자라는 ... ...
[표지로 읽는 과학]‘게르마늄’ 존재 믿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를 제안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주기율표는 단순히 화학적인 영역에만 있는 게 아니다”라며 “전 세계 모든 화학
실험실
과 교실에 걸려 ‘우리는 여기서 과학을 한다’고 알리는 깃발 또는 배너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1869년 멘델레예프는 당시 알려진 모든 화학적 원소를 분류한 주기율표를 처음 내놨다. 각 원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침팬지 현장연구를 떠났을 때를 회상하며 시작하고 있다. 그때까지 동물원이나
실험실
에서만 침팬지를 본 폰처는 야생의 거친 환경에서 살아가는 침팬지 무리를 지켜볼 수 있다는 기대에 잔뜩 흥분해 우간다 키발리국립공원에 짐을 풀었다. 그러나 며칠 동안 침팬지들의 일상을 관찰하고 크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대학원생 정원이 다 차 받아줄 수 없었고 결국 연구는 물리학과 자릴로-헤레로 교수의
실험실
에서 연구는 하되 소속은 전기공학과에 두게 됐다. 논문에는 물리학과 소속으로 나와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틀린 것이다(아니면 그 뒤 적을 옮겼거나). 인생 최초의 좌절에 실망이 컸지만 차오는 ... ...
[과학게시판] 원자력연, 학습시스템 ISO인증 획득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2.12
우수연구실 인증서 수여식'을 열었다. 행사에서 강원대 분자구조·화학동역학 레이저
실험실
, 광주과학기술원 집적광학연구실, 국가핵융합연구소 헬륨설비실, 한국산업기술대 유기화학고분자화학실 등 72개 연구실이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을 획득했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은 연구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장이 됐다. 이곳에서 그는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세계의 많은
실험실
이 무균 설비를 갖고 있지만, 찰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세계에서 유일한 무항원 생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수십 년 뒤 증세가 나타나는 것이다. 책에는 색스가 스틸의 안내로 괌메모리얼병원의
실험실
에서 리티코-보딕 환자의 뇌 슬라이드를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는 장면이 나온다. 색스는 “배율을 높였더니 엄청난 수의 엉킨 신경섬유가 보였는데 파괴된 신경세포 속에서 복잡하게 뒤엉킨 얼룩덜룩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사람 유전자의 2%가 후각수용체 담당 1991년 미국 컬럼비아대 리처드 액설 교수
실험실
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던 린다 벅은 쥐의 게놈에서 후각수용체 유전자 무리를 발견했다. 그런데 그 숫자가 1000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돼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훗날 1400여 개로 밝혀졌고 그 가운데 1000여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