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d라이브러리
"
육지
"(으)로 총 886건 검색되었습니다.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이를 토대로 해저 지도를 그리면 된다. 문제는 해저 지형이 끊임없이 변한다는 것이다.
육지
가 지진과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처럼 해저는 끊임없이 조수와 해류의 영향을 받는다. 태풍이라도 지나가면 바닷속은 발칵 뒤집힌다. 따라서 해저지형은 지속적인 탐사를 통해 변화를 추적하고 파악해야 ... ...
기뢰 제거용 무인잠수정 출동!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자동차 크기의 탤리스만은 수중 음파장치를 이용해 기뢰를 찾은 다음 수면 위로 올라와
육지
에 있는 본부에 기뢰가 묻혀있는 위치를 알린다. 본부에서 기뢰를 없애라는 명령을 내리면 탤리스만은 소형 어뢰를 발사해 기뢰를 폭파시킨다 ... ...
日 독도 수로측량 계획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이것이 일본 영토가 되면 이를 기준으로 일본이 가질 수 있는 200해리 EEZ의 면적은 일본의
육지
면적보다도 넓어지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일본이 독도를 차지하게 되면 그로 인해 늘어나는 바다영토 면적은 어마어마해진다.해양영토가 넓어지면 그 안에 속한 해양자원은 자연히 따라오게 마련이다.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더욱 자랑스럽게 느껴지네요. 그런데 바닷속 탐사는 왜 중요 한가요?바닷속에는
육지
에서 고갈되어 가고 있는 많은 광물자원이 숨어 있어요. 또한 많은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생물들도 가득하지요. 탐사는 이런 자원과 생물들을 우리 생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또한 빛이 없는 ... ...
1100만년전 처음 등장한 고양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등을 자유롭게 오갔는데 지금은 사라진 ‘베링
육지
다리’(시베리아와 알래스카 사이의 베링해엽을 잇는 땅) 등을 이용했다. 연구팀은 현존하는 고양이의 60%는 최근 100만년 사이에 진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한다지구에서는 지구의 자전, 복사 위도에 따라 대기환류가 달라진다바다와
육지
의 분포만을 고려한 대기환류는 1차환류라고 하며 대기환류 중에서 이동성 저기압이나 고기압의 규모에 해당되는 대기운동을 2차환류라 하고 이들 환류에 중합되는 소규모의 대기운동을 3차환류라고 한다 대기의 ... ...
PART1 한반도를 뒤흔들 5대 기후변화 조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육지
에 상륙하면 대개 열과 수증기 공급이 차단돼 세력이 약해지기 마련인데 최근에는
육지
의 온도가 높아져 이마저 어렵게 됐다.태풍권도 북상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대개 열대기후와 온대기후의 경계에서 태풍의 전향점이 형성됐다. 대만 부근에서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경우가 ... ...
빙산의 노래를 들어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노래를 부르는 남극 빙산이 발견됐다. 남극의 독일 알프레드 베게너 연구소에서 지각의 움직임을 관측하는 과학자들은 빙산에서 발생하는 음파가 ... 이곳에 설치된 지진계를 통해 이 신호를 분석한 결과 50km×20km 크기의 빙산이 수면 아래의
육지
와 천천히 충돌하며 긁히는 소리로 밝혀졌다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여름에는 10℃까지 올라가 제법 따뜻하다. 북극은 남극에 비해 기후 조건이 좋고
육지
와 가까워 수천 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고, 현재는 캐나다와 일본, 우리나라를 포함한 12개국의 연구기지가 있다. 지금부터 전 세계가 북극을 주목하고 있는 이유를 알아보자. 남극을 소개합니다지구에서 가장 추운 ... ...
공룡에 관한 여덟 가지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곳은
육지
입니다. 공룡은 하늘을 날지 않았고, 물 속에서 살지도 않았어요. 공룡은
육지
파충류이기 때문이지요. 중생대에 살았던 파충류 중에는 하늘을 날았던 파충류가 있었는데, 이것이 바로 익룡입니다. 또한 바다에서 사는 파충류도 있었는데, 이것이 바로 어룡과 수장룡이지요. 생활하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