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d라이브러리
"
육지
"(으)로 총 886건 검색되었습니다.
4. 총성 없는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초기 공중전력의 주 임무가
육지
와 해상작전을 지원하는 일이었다가 나중에는 하늘이
육지
와 바다에 이어 제3의 전투공간이 됐던 것처럼 우주도 점차 제4의 전투공간이자 전쟁의 승패를 가름하는 주 전장으로 변해갈 것이다.그렇다면 가속되고 있는 우주전쟁의 제동장치는 없을까. 사실 우주무기에 ... ...
주몽의 炒鋼法(초강법) 비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기반으로 하는 현대식 철기산업의 기초를 마련했다. 강철이 대량생산된 덕분에
육지
와 해상의 운송수단이 대형화됨은 물론 대륙을 횡단하는 철로가 신설되기 시작했다. 이는 유럽에서 주철을 생산하기 시작한지 500년이 채 안 되는 시기에 이뤄진 업적이다. 적어도 1000년 이상을 앞서 베세머법에 ... ...
인류는 왜 다시 달로 가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때 가장 안전하고 믿을 만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대기를 통과한 뒤에는 낙하산을 펼쳐
육지
에 착륙하는 방식이다. 캡슐의 무게는 25톤 가량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NASA는 새로운 발사 시스템이 우주왕복선보다 10배 더 안전할 것이라고 추정한다. 캡슐 위쪽에 탈출 로켓을 장착해 발사할 때 문제가 ... ...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남쪽에서 북쪽으로 100km 이내의 영상을 찍을 수 있을 뿐이다.미국은 우주뿐 아니라
육지
, 바다, 하늘에 배치된 자산을 상호 보완적으로 동시에 운용해 미사일 발사 징후를 빈틈없이 파악할 수 있다. U-2 고공정찰기는 24km 이상의 고도에서 북한 내륙의 영상을 촬영하고, 미사일 발사장 주변의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 없으므로, 심해어는 몸 속의 가벼운 지방으로 부력을 조절한다. 또 심해생물의 세포는
육지
생물의 세포보다 물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높은 압력에도 부피가 많이 변하지 않는다. 실제로 심해에서 건져 올린 아귀를 보면 우리가 즐겨 먹는 어떤 바닷물고기보다 육질이 연하다.물고기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모두 소화해내는 첨단 미사일이다 최대속도는 마하 20이고 1986년 첫 비행에 성공했다
육지
의 지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수중 폭파장치 공 모양의 관 속에 폭약과 발화장치를 넣은 다음 수중에 부설해 배를 폭파한다 기계수뢰의 준말 대잠수함용 기뢰가 처음 등장한 것은 제1차세계대전 중으로, 독일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이틀이 지난 뒤에야 하버드대 천문대에 편지를 보냈다.당시 날씨가 좋지 않아 배는
육지
로 가지 못한 채 편지와 함께 섬에 묶였다. 결국 편지는 6일 뒤에야 하버드대 천문대에 전달됐고 천문대장 윌리엄 본드의 아들인 조지 본드가 이 혜성을 유럽에 보고했다.캐롤라인 허셜 때도 그러했지만 혜성의 ... ...
물 위를 달리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미국 카네기 멜론대 메틴 시티 교수가 ‘예수 도마뱀’(Jesus lizard)을 모방해 물과
육지
에서 움직일 수 있는 수륙 양용 로봇을 개발했다고 지난 4월 25일 온라인 뉴스 사이트‘디스커버리 채널’ 이 보도했다.‘워터 러너’(water runner)라는 이름의 이 로봇은 4개의 다리를 사용해 초속 0.8m로 도마뱀처럼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빠진 이유는 뭘까. 두만강이 국가의 경계라면 두만강 하구에 위치한 녹둔도가 러시아쪽
육지
에 붙어 있으므로 러시아 영토라는 논리가 성립한다.필자의 취재팀은 녹둔도가 위치한 두문강 하구의 형체에 대해 지리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지난해 가을 러시아 탐사선 ‘브니마띠르너’호를 타고 동해 ... ...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이를 토대로 해저 지도를 그리면 된다. 문제는 해저 지형이 끊임없이 변한다는 것이다.
육지
가 지진과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처럼 해저는 끊임없이 조수와 해류의 영향을 받는다. 태풍이라도 지나가면 바닷속은 발칵 뒤집힌다. 따라서 해저지형은 지속적인 탐사를 통해 변화를 추적하고 파악해야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