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d라이브러리
"
육지
"(으)로 총 88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와 골짜기가 만든 동해 가스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묻혀 있는 천연가스는 먼저 해상 생산시설에서 1차 정제를 거친 후 해저 송유관을 통해
육지
로 수송된다.한국 첫 유전인 동해1 가스전은 해저 유전의 일반적인 형태와는 달리 ‘코’와 ‘골짜기’가 만든 세계적으로 많지 않은 독특한 형태의 유전이다. 땅 밑에 묻혀 있는 석유를 찾으려면 먼저 퇴적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안타깝게도 어촌공동체마저 이미 파괴되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곧
육지
가 될 시한부 운명인 새만금 갯벌. 그 갯벌에 기대 평생을 살아가는 무수한 생명과 주민들의 모습을 사진에 담았다.집 나간 며느리 불러들이는 전어 수심이 얕고 조수간만의 차가 큰 갯벌. 밀물을 따라 밀려온 ... ...
경쟁자 나타나자 '종의 기원' 서둘러 발표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없었다.하지만 비글호를 타고 5년 동안 각지를 돌며 다양한 지질 상태와 해양생물,
육지
동식물 등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면서 그는 차츰 진화론에 매달렸다.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던 ‘완벽한 신의 작품인 종은 불변한다’는 교회의 주장과 자신이 경험한 자연세계가 전혀 달랐기 때문이었다. 이미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유럽인들은 이 지도첩을 통해 처음으로 한국이 섬나라가 아니라
육지
에 붙어 있는 반도라는 사실을 알았는지 모른다. 이후 과학이 발전하고 실제 측량이 강화된 18세기 들어 한국도 제 모습을 서양인 앞에 드러냈고 대표적인 사례가 당빌의 지도였다.그런데 앞에서 말한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80대나 설치돼 있다. 풍차가 바다로 나가면 건설 비용이 커지지만 바람이 빨라
육지
보다 10-20% 더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공간도 넉넉해 많은 풍차를 건설할 수 있다. 한국은 서해와 남해가 후보 지역이다.그러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과연 석유를 대체할 수 있을까.한전이 풍력발전에서 나온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압해도로 출발했다. 압해도는 우리나라 섬 가운데 갯벌이 가장 잘 발달한 곳이다.
육지
에 워낙 가깝고 크기도 커 섬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너무 무더워 갯벌을 둘러보기만 할 예정이었는데 마지막이라서 아쉬웠는지 교사들이 하나둘 갯벌로 들어간다. 지금까지 둘러본 곳 가운데 이곳 갯벌이 ... ...
챔피언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한다지구에서는 지구의 자전, 복사 위도에 따라 대기환류가 달라진다바다와
육지
의 분포만을 고려한 대기환류는 1차환류라고 하며 대기환류 중에서 이동성 저기압이나 고기압의 규모에 해당되는 대기운동을 2차환류라 하고 이들 환류에 중합되는 소규모의 대기운동을 3차환류라고 한다 대기의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현재의 38만km보다 훨씬 가까웠다. 그 결과 달의 조석력도 대단해서 밀물과 썰물로 바다와
육지
가 교차되는 거리가 수백km에 달했다. 한편 지구의 자전주기도 지금보다 훨씬 짧아 2-6시간 정도였고 표면 온도는 매우 높았다. 그 결과 밀물 때 빠져나가지 못하고 고여 있는 웅덩이의 물이 금방 ... ...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긴 시간이 필요했을까.지구의 71%가 바다고, 이 중 60% 이상은 1천5백m가 넘는 심해다.
육지
에서 가장 높은 8천8백48m의 에베레스트산도 마리아나 해구에는 거뜬히 빠질 정도로 깊다.심해 정복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이런 깊이에 따른 수압 때문이다. 바다 속에서는 수심이 10m 증가할 때마다 1기압씩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데워진다. 따라서 북반구는 급작스런 기후변화의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또한 빙하는
육지
에만 쌓인다.반면 남반구는 바닷물이 많기 때문에 열의 변화에 반응이 느리다. 바닷물은 쉽게 데워지거나 차가워지지 않고 열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 크기 때문이다. 대기와 바닷물을 비교해보면 지구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