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을 꾸렸다. ‘가상 연구실’이라는 뜻을 가진 버추얼 랩은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자들이 자료를 공유하고 비대면 회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구름 속에서 플레이하는 최신 게임 프로젝트 엑스클라우드바야흐로 클라우드 게임의 시대다. 9월 15일 국내 통신 기업 SK텔레콤은 MS와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단과 2단이 분리되며 그 후, 2단 점화시점(395초)까지는 탄도비행을 하게 돼있었다. 우리측 연구자들은 러시아측 장치가 문제일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러시아측의 생각은 달랐다. 사고가 난 바로 다음 날부터 우리나라가 개발한 2단 엔진(킥모터)의 비행종단시스템이 문제를 일으켰다는 주장을 ... ...
- [특집] 클라우드 TECHNOLOGY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완벽한 기술은 없듯, 타인에게 내 정보를 맡기는 시스템은 항상 보안의 위험이 따른다. 연구자들은 이를 극복하고, 나아가 인공지능(AI) 등 차세대 기술과의 융합을 이루고 있다. 클라우드는 가을 하늘 구름처럼 더 높이 떠오를 것이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클라우드 ...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코로나19 이후 인류는 새로운 표준으로 살 것”2020 사이언스 바캉스는 양자역학 연구자인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가 특별 사회자로,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 이재담 울산대 의대 교수 등 두 전문가가 패널로 함께 했다. 5월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함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한 송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단 인간이 아닌 동물 대상의 연구인지라 실험 설계가 지나치게 단순화된 측면은 있다.연구자들은 윤리적으로 인간의 태아기 호르몬을 조절하는 실험은 할 수 없었다. 그래서 생물학적으로 중성인 사람과 같이 태아기 호르몬의 수치나 또는 태아기 호르몬에 대한 반응이 일반적이지 않은 사람들에 ...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인공위성 덕분이다. 한국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 3호, 3A호, 5호 등 4기가 연구자들을 대신해 사진을 찍고 데이터를 보내며 극지를 지켜보고 있다. 혜민 스님은 멈추면 비로소 보인다고 했다. 과학은 거리는 물론 시간적으로도 멀리서 볼 수 있게 해 준다. 숲도, 산도, 사막도, 극지도, ...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규모가 큰 펭귄 군집은 개체수가 수십만 마리에 이르기도 한다. 이 정도 규모는 연구자가 현장에서 세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최근 무인기를 띄워 펭귄의 개체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무인기가 촬영한 영상에서 자동으로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극지연구소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2019년부터 남극 대륙의 미개척지를 탐사하는 연구자들을 위해 인공위성으로 히든 크레바스를 찾아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숨겨진 크레바스를 찾는 데는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5호에 탑재된 영상레이더를 활용한다. 레이더에서 쏘는 마이크로파는 눈 ...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해독 기술을 개발했던 처치 교수와 다니엘 브랜턴 하버드대 화학과 교수가 열었다. 두 연구자는 1995년 기름기가 있는 생체막을 물에 띄우고 그 위에 단백질을 넣어 지름이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인 작은 구멍을 만들면, 막을 중심으로 두 개의 구역이 생긴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들은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1차 발사 이후 고국으로 돌아간 러시아 연구진들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일하던 연구자들이 다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 모였다. 러시아에서 제작한 나로호 1단은 3월 31일 러시아를 출발해 4월 4일 김해공항에 도착했다. 김해공항부터 나로우주센터까지는 해군 호위 하에 바지선으로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